“용유초 무의분교 증축…건물 리모델링 실험실·교실 조성”
인천시 교육청은 폐교를 효율적인 교육·문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2025년도 폐교재산 관리 및 활용 시행계획'을 수립했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인천 지역 폐교 60곳 중 활용 사업을 추진 중인 곳은 중구 용유초 무의분교(2023년 폐교), 강화군 교동초 지석분교(2023년 폐교), 강화군 마리산초(1999년 폐교) 등 3곳이다.
나머지 57곳은 매각 40곳, 교육용 시설(자체 활용) 8곳, 대부 5곳, 활용 방안 모색 4곳 등이다.
시 교육청은 당초 용유초 무의분교를 증축해 해양 교육 거점 시설인 '무의바다학교'로 조성할 계획이었다.
건물 신·증축을 하려면 건축법상 연면적 2000㎡ 이상 건축물의 대지는 너비 6m 이상 진입로를 확보해야 한다.
그러나 학교 특성상 개발 공간이 협소해 진입로 확보를 위한 사유지 매입이 필수였으나 시 교육청은 비용 부담 등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이에 따라 시 교육청은 6억 5000만원을 투입해 기존 건물을 리모델링하고 실험실과 교실 등을 조성해 연말까지 공사를 마칠 계획이다.
교동초 지석분교는 내년 1월 개관을 목표로 난정평화교육원 부설 청소년평화교육센터로 조성된다.
다만 마리산초는 2023년 말 민간 대부 계약이 종료됐음에도 임차인이 여전히 건물을 점유해 시 교육청이 명도 소송을 제기한 상태로 문화·예술·체육 공간 조성 사업 계획이 뚜렷이 잡히지 않은 상태다.
강화도 길상초 선택분교(2001년 폐교)는 독서캠핑장과 출판창작소를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시 교육청은 원래 인천남중 북도분교(1999년 폐교)에 독서캠핑장을 조성하려고 했으나 진입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자 사업 대상지를 길상초 선택분교로 변경했다.
인천남중 북도분교, 삼산초 서검분교(1994년 폐교), 대청초 소청분교(2024년 폐교) 등 3곳의 활용 방안은 공무원, 학부모,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폐교재산활용위원회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또 폐교의 부정적인 인식을 줄이기 위해 매각한 폐교 40곳에 우선으로 학교 역사를 기록한 기념비를 설치할 방침이다.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폐교 활용 방안 계획을 지역 여건에 맞게 수정해 주민들과 상생하는 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