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단지공단은 11일 산단 입주기업 간 기술 협업 체계를 구축해 온 산단 오픈이노베이션(KICXUP) 사업의 2024년도 사업 추진성과 및 시사점을 정리하는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KICXUP은 산단 입주기업과 스타트업 간 기술 협업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 수준의 개방형 플랫폼 발전을 목표로 2022년부터 추진된 사업이다.
지난해 KICXUP은 ▲글로벌 기술 협업 및 시장 진출 본격화 ▲비수도권 산단으로 대상 확대 ▲기술검증(PoC) 성과관리 체계 고도화 등 구조 개선을 통해 혁신 생태계 정교화에 집중했다.
산단공은 지난해 10월 KICXUP 글로벌 2024를 개최해 미국, 독일, 일본, 영국 등 글로벌 기업 36개사와 스타트업 114개사 간 기술협업 매칭 총 181건을 성사시켰다.
특히 스튜디오 에피소드는 글로벌 기업과 기술협업을 통해 82만 달러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성과를 거뒀다.
또 KICXUP 브릿지 프로그램을 통해 지난해 12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이노베이션 리더스 서밋 2024에 참가했다.
이를 통해 국내 스타트업 5개사의 일본 진출을 지원하고 사전 매칭 8건과 현장 미팅 58건으로 일본 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을 확인했다.
지난해 12월에는 비수도권 산단인 광주 거점을 개소해 전국 단위의 혁신 플랫폼으로 확대 기반을 마련하면서 KICXUP을 통한 지역 거점 활성화도 추진했다.
또 지난해부터 PoC는 평가점수에 따른 차등 지원 방식을 도입해 실행력 있는 협업 프로젝트를 집중 육성했다.
그 결과 지난해 PoC 14건으로 최대 발굴해 134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고 71억5000만원 규모의 기술보증 성과를 달성했다.
산단공은 올해부터 ▲지역 산단별 현안 해결형 기술협업 모델을 새로 도입하고 ▲디지털 전환 및 탄소중립 연계형 PoC 개발 ▲글로벌 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확대 등을 통해 KICXUP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상훈 산단공 이사장은 “2024년 산업단지 오픈이노베이션 사업은 산업단지를 기술혁신과 글로벌 협업의 중심 플랫폼으로 진화시키는 출발점이 됐다”며 “앞으로도 지역 산업단지 현안 해결과 글로벌 연계를 아우르는 협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