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모색' 토론회서
"사회적 가치 경제 시스템에 내재화시킬 필요 있다" 언급
전문가들, 저성장·인구소멸 등을 '복합위기'로 진단해
기업·사회·정부 참여 필요성 부각…신기업가정신 강조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저출산, 지역소멸, 성장 정체 등 다양한 문제가 돈만 투입해서는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며,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유도할 경제적 인센티브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 회장은 8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의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우리 사회를 위한 새로운 모색' 토론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WTO 체제도 없어지고 보호무역주의 형태로 가다 보니 지금의 자본주의 시스템이 사회를 제대로 잘 작동시킬지에 대해 의구심이 있다"고 운을 뗐다.
그는 "거의 모든 나라가 경제 발전과 사회문제 해결에 들어가는 비용과 해결 방안이 부재한 상태"라며 "자본주의 시스템, 우리나라가 살고 있는 시스템 자체에 상당히 약점과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최 회장은 사회적 가치나 외부 효과를 시스템 내부로 가져오고, 기업을 비롯한 여러 경제 주체들이 문제를 해결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식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기업들에 돈만 벌면 된다는 형태로 자본주의 시스템이 디자인되다 보니 다른 사회 가치를 만들 수 있는 효과나 이야기는 등한시됐다"며 "사회적 가치를 경제 시스템에 내재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회 문제를 좋은 마음만 가지고 해결하라는 것은 그 문제의 해결 속도를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문제를 풀 수 있는 사람에게 경제적인 인센티브 형태를 줘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는 경제, 사회, 행정, 정치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주요 학회를 비롯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대한변호사협회 등 시민사회가 참여했다.
토론자들은 한국의 현재 상황을 AI 대전환, 저성장, 통상환경 재편 등 급변하는 경제환경에 더해 인구소멸, 지역불균형, 기후위기 등 사회문제가 급속도로 심화하는 '복합위기'라고 진단하고, 우리사회의 생존과 사회문제 해결을 기업와 사회, 정부가 함께 공감하고 참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데 뜻을 같이 했다.
구체적인 해법으로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을 기업의 핵심경영가치로 내재화하고, 사회는 혁신 참여의 주체로 역할을 확대해 협력적인 문화를 조성하며, 정부는 혁신생태계 설계자이자 조정자로서 사회적 가치가 정책과 제도에 반영되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 전략으로 제시됐다.
‘기업가정신의 진화와 우리나라 현실 진단’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재구 한국경영학회 전 회장은 현재 한국이 처한 현실에 대해 "기업은 기존의 생산자를 넘어 사회문제 해결의 설계자이자 실천자로 역할을 확대하고 있지만, 미국 등 국제환경과 비교했을 때 우리사회는 취약한 부분이 많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가치 창출에 대한 관리체계가 없어 정부는 물론이고 기업, NGO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많은 자원을 투입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사각지대가 발생한다"며 "이런 위기 상황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필요하며, 우리 사회의 모든 이해관계자가 혁신생태계를 공동설계하고 참여하며 함께 책임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신기업가정신이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에게 필요한 기업가정신과 기업, 사회, 정부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이정현 한국경영학회 전 수석부회장은 "제품과 서비스 설계 단계에서부터 사회문제 해결 기능을 내재화할 필요가 있다"며 "수익과 주주가치 중심 전략을 넘어, 사회적 가치를 핵심경영가치로 내재화해 경제적 가치로 선순환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