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석·신동엽 등 코미디언 이어
일상 공개로 유튜브 진출하는 배우들
유재석, 신동엽, 이경규, 장도연, 박나래 등 코미디언에 이어, 배우 이민정, 김남주, 고소영, 이미숙 등 중년 배우들도 유튜브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신비주의’를 벗어던지고 대중들에게 ‘가깝게’ 다가가는 것은 반갑지만, 맥락 없는 PPL 또는 명품 자랑으로 알맹이 없는 콘텐츠를 선보이는 일부 스타들에겐 아쉬움이 남는다.
지난 2022년 유재석이 채널 ‘뜬뜬’을 통해 유튜브 플랫폼에 진출한 이후 ‘짠한형’의 신동엽, ‘갓경규’의 ‘살롱드립’의 장도연, ‘조동아리’의 김용만·지석진·김수용, ‘나래식’의 박나래 등 다수의 코미디언들이 게스트와 술을 마시며 이야기하거나, 요리하며 수다를 떠는 등 나름의 개성을 갖춘 ‘토크 콘텐츠’로 시청자들을 만나고 있다.
그 바통을 여배우들이 잇는 모양새다. 지난해 배우 고현정이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 시청자들의 응원을 받은 가운데, 현재는 손태영, 최화정, 한가인, 이민정, 고소영, 이미숙, 김정난, 선우용녀 등이 출격해 자신들의 일상을 공개 중이다.
코미디언들이 특유의 입담을 무기로 시청자들에게 ‘자연스러운’ 재미를 선사하며 영화·드라마의 ‘홍보의 장’ 역할을 했다면 배우들은 ‘브이로그’를 통해 ‘거리감 좁히기’에 방점을 찍고 있다. 아이들 학교, 학원 픽업 일상을 공개한 한가인을 비롯해 남편과 아들의 얼굴은 공개하지 않지만, 목소리 출연을 통해 자신, 그리고 가족의 일상을 공유 중인 이민정, 집 공개와 요리, 텃밭 가꾸기 도전 일상 등을 콘텐츠화한 이미숙 등이 영화, 드라마 바깥에서의 모습을 공개하며 소탈함을 강조 중이다.
영화, 드라마 제작 편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어 ‘위기’ 호소가 이어지는 가운데, 좀 더 ‘가볍게’ 도전할 수 있는 유튜브 콘텐츠는 갈수록 느는 흐름과도 무관하지 않다. 앞서 김원훈, 조진세의 ‘숏박스’와 정재형, 김민수, 이용주의 ‘피식대학’ 등 짧은 에피소드들로 이뤄진 스케치 코미디를 선보이는 유튜브 채널들이 코미디언들의 ‘새 돌파구’가 된 바 있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배우들 또한 공백기를 유튜브 활동으로 ‘의미 있게’ 채운다는 기대감이 있다.
유튜버로 변신한 이후 자신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즐기며 젊은 시청자들에게 ‘긍정적인’ 에너지를 불어넣은 ‘최고령 유튜버’ 선우용녀처럼, ‘좋은 예’도 만날 수 있다.
다만 매회 영상 시작과 동시에 PPL부터 선보이는 일부 코미디언들의 콘텐츠는 물론, 배우들의 맥락 없는 명품 자랑에 “웹예능을 향한 시청자들의 관심이 멀어질까 두렵다”는 반응이 나오기도 한다. ‘새로운’ 콘텐츠로 시청자들의 흥미를 끌어내는 것이 아닌, 잠깐의 관심을 활용하거나 화제몰이를 위한 무리수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이어지는 것. ‘짠한형’은 다수의 회차에서 PPL로 영상을 열고 있으며, 한가인을 비롯해 고소영과 이미숙 등 자신이 소유 중인 명품을 소개하는 내용이 연예인 유튜버들의 단골 소재가 되고 있다.
한 방송 관계자는 “물론 광고나, 연예인들만의 특별한 일상을 ‘어떻게’ 풀어내는지도 중요하다”고 해당 소재를 마냥 비판할 수 없다고 말하면서도 “다만 자신들만의 콘셉트나 내용은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연예인들의 유튜브 진출도 곧 시청자들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