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9·천무 수출 확대 지속...분기 역대 최대 실적
당국 유상증자 제동에도 “자금 조달은 예정대로”
방산 외교도 병행…3형제 ‘트럼프 주니어’ 면담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상 방산 수출 호조와 자회사 한화오션의 실적 기여에 힘입어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반면 유상증자 절차는 금융당국의 잇단 정정 요구로 난항을 겪어왔다. 회사는 이날 2차 정정신고서를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가운데 대규모 투자를 위한 자금 조달을 예정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K방산 효과’에 역대급 실적...주요 사업 전방위 성장
30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 5조4842억원, 영업이익 5608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8%, 3060% 급증한 수치로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이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증권가 전망치(매출 4조7995억원, 영업이익 5019억원)도 웃돌았다.
사업 부문별로는 지상방산 부문이 실적을 견인했다. K9 자주포와 천무 다연장로켓의 유럽향 수출 확대, 생산성 개선,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이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해당 부문 매출은 1조1575억원, 영업이익은 3019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77% 증가,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날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폴란드 등에 올해 K9 70문을 인도할 계획인데 현재 20문을 인도했고, 천무는 50대 중 24대를 인도했다”며 “연간 기준으로 보면 천무 인도 물량이 K9보다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항공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 43% 늘어난 매출 5309억원, 영업이익 36억원을 거뒀다. 자회사인 한화시스템은 방산 수출 확대에 따라 매출 6901억원, 영업이익 582억원을 올렸고 자회사로 편입돼 분기 실적에 처음 반영된 한화오션도 실적 개선세를 견인했다. 한화오션의 매출은 전년 대비 38% 증가한 3조1431억원, 영업이익은 389% 급증한 2586억원이었다.
유증 제동에 '2차 정정 신고서' 제출..금감원 퇴짜만 2차례
다만 실적 훈풍에도 불구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추진 중인 유상증자는 불확실성 요인으로 남아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달 20일 국내 자본시장 역사상 최대 규모인 3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발표 직전 단행된 한화오션 지분 매입이 그룹 승계와 연관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주주들의 반발이 거셌고 금융감독원 역시 정보 기재 미흡을 이유로 정정 요구를 내놨다.
이후 회사는 유상증자 규모를 2조3000억원으로 축소하고 나머지 1조3000억원은 한화 계열 3개사를 통한 제3자 배정 방식으로 조달하겠다고 밝히며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금감원이 기재 내용이 여전히 불충분하다고 판단해 2차 정정을 요구하면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날 정정신고서를 재차 제출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시장의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요구한 사항에 맞춰 총 1243쪽 분량의 정정신고서를 작성해 제출했다”면서 “유상증자의 배경과 자금 사용 목적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다”고 밝혔다.
애초 850페이지였던 유상증자 증권신고서는 1차 정정을 거치며 1170페이지로 늘었고 이번 2차 정정을 통해 1243페이지까지 확대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정정 신고서가 수리되면 7월 1~2일 구주주 청약, 7월 4~7일 일반 공모를 거쳐 7월 21일 신주를 상장할 예정이다.
북미 방산 공략 본격화...3형제 ‘트럼프 주니어’ 면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을 북미와 유럽 등 해외 방산 투자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회사 측은 유럽의 방산 블록화 움직임에 대응해 현지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밝히면서 지속 성장을 위한 글로벌 전략이란 점을 강조했다.
회사는 방산 수출 및 북미 진출 확대를 위한 대외 행보도 강화 중이다. 이날 오전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을 비롯한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 등 3형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를 면담하며 대미 사업 협력 논의에 나섰다. 트럼프 가문과의 교류를 재확인한 이번 행보는 방산·에너지 등 미국 내 전략 사업을 겨냥한 교두보 확대 차원으로 해석된다.
한화그룹은 최근 김승연 회장의 ㈜한화 지분이 세 아들에게 이관되며 김동관(방산·조선·에너지), 김동원(금융), 김동선(유통·로봇·반도체 장비) 체제로 경영 승계가 본격화된 상태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