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교섭본부-통상전문가 간담회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9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6차 한-중 FTA 공동위원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뉴시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무역안보관리원에서 주요 통상·국제관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 신(新)행정부 통상정책 대응 논의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미국 신 행정부 출범이 1달여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정부의 준비 현황을 공유하고 통상교섭본부 주요 간부들과 통상전문가들 간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대응전략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한 통상전문가들은 미국 신 행정부의 대외정책이 지난 1기 대비 상당한 변화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며, 정부의 차분하고도 치밀한 대응을 주문했다.
발제를 맡은 이승주 중앙대 교수는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 노선이 미국 내 주류로 자리잡으면서 대외정책이 큰 탄력을 받을 것이며 보편관세 실행 및 다자통상질서 재구성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교수는 이러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기 대비 강화된 미 신행정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거래적 접근에 잘 대비할 것을 조언했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정부는 미국 신 행정부 내각 구성과 정책 방향을 예의주시하며 이슈별로 대응 방안을 수립 중"이라며 "한미 관계는 우리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첨단기술·공급망이 밀접하게 연계된 상황인 바 이를 바탕으로 상호호혜적 협력관계를 지속하고 우리 기업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향후 정부는 최근 국내 정세로 인한 불확실성이 미국 신 행정부 출범 대응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철저한 공조체계를 구축하고 우리 기업과 긴밀히 소통해 나갈 계획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