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부실채권 첫 공동 매각…건전성 관리 '물꼬'

이세미 기자 (lsmm12@dailian.co.kr)

입력 2023.12.06 15:17  수정 2023.12.06 15:31

우리금융F&I에 1000억 넘겨

'연체의 늪' 해소 실마리 기대

서울의 한 저축은행 전경.ⓒ연합뉴스

저축은행업계가 연체채권 공동매각이라는 첫 삽을 떴다. 그동안 답보상태에 머물렀던 과제를 해결함으로써 건전성 관리에도 물꼬가 트일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들이 연체의 늪에서 허우적대고 있는 와중 이번 공동매각이 문제 해소의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6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12개 저축은행은 개인무담보 부실채권(NPL) 자산유동화방식 공동매각을 추진해 1000억원 규모 부실채권을 우리금융F&I에 이달 중 매각한다. 매각가율은 캠코 매입률표 기준 매각가격보다 약 30% 높은 수준이다.


이번 공동매각은 지난 5월 금융위원회가 유동화전문회사 5개사에 저축은행의 개인 무담보 NPL을 매각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추진됐다. 그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만 NPL을 매각할 수 있었지만, 가격 경쟁이 약화된다는 지적이 제기된데 따른 것이다.


다만 중앙회는 NPL 매입회사들이 보통 1000억원 이상 규모로 거래한다는 걸 고려해, 여러 저축은행의 NPL을 한 번에 모아 매각하는 전략을 세우고, 지난달 29일 부실채권 매각을 위한 본입찰을 진행했다. 당초 유동화전문회사 우리금융F&I와 대신F&I가 입찰 의사를 밝혔지만, 우리금융F&I만 입찰에 참여했다.


당초 업계에선 부실채권의 연내 매각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부실채권 정리 작업을 위해 하반기부터 매달 릴레이 간담회를 실시했지만 좀처럼 활로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매각 성공으로 업계의 분위기도 반전을 맞고 있는 모습이다. 저축은행들은 현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높은 연체율에 직면한 상황인 만큼 건전성 관리가 수월해질 것이라는 기대다.


그럼에도 금융권은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당분간 더 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금융당국도 저축은행의 건전성 지표 악화에 주목하며, 이달 중 연체율 관리 실태 등에 대해 저축은행업권 현장 점검을 예고했다.


실제 79개 저축은행들은 올해 들어 3분기까지 1413억원에 달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 중이다. 3분기 말 연체율은 6%로 전분기 말보다 0.82%포인트(p) 올랐다.


SBI·OK·웰컴·페퍼·한국투자저축은핼 등 자산 규모 상위 5대 저축은행의 부동산PF 연체율은 6.92%로 전년 동기 대비 4.52%p 상승했다. 같은 기간 부동산PF 연체액은 173억원에서 576억원으로 증가했고, 부동산PF 신용공여액은 2조9423억원에서 2조8307억원으로 감소했다.


다만 저축은행업권에서는 부동산 관련 대출이 아직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입장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 등 경기침체 영향이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내부유보 등 자본확충으로 경영 안정성은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캠코에 한정돼있던 개인무담보 부실채권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채널을 마련한 만큼 지속적인 공동매각으로 업계 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이세미 기자 (lsmm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