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동' 주민들, '민간인 고엽제 피해자' 지원 이뤄낸 김경일 파주시장에 감사패 전달
파주시 장단면 '대성동마을' 주민들이 민간인 고엽제 피해자 지원과 관련해 김경일 파주시장에 감사패를 전달했다.
'대성동마을' 김동구 이장 등 주민들은 추석을 앞둔 지난 27일 시청을 방문해 '파주시 고엽제후유증 민간인 피해자에 대한 지원 조례' 제정을 기념하며, 전국 최초로 민간인 고엽제 피해자 지원을 이뤄낸 김 시장에게 고마움을 표시했다.
'대성동마을' 주민 대부분이 고엽제 피해자들이다.
파주시의 민간인 피해실태조사에 따르면 고엽제 살포 당시에 '대성동마을'에 거주한 주민 60명 중 85%인 51명이 당뇨병, 폐암 등 고엽제 후유질환을 앓고 있다. 그러나 현행법상 한계로 인해 질환과 후유증에도 어떠한 지원과 보상도 받지 못해 왔다.
고엽제 피해 지원 대상은 '고엽제후유의증 등 환자지원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라 고엽제 살포 당시 남방한계선에 복무했던 군인과 군무원으로 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성동마을' 주민들은 '파주시 고엽제후유증 민간인 피해자에 대한 지원 조례' 제정에 따라 57년 만에 고엽제 피해에 대한 보상과 지원을 받게 되어 오랜 한을 풀게 됐다.
파주시는 그동안 민간인 고엽제 피해자 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 '고엽제 피해자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와 실태조사 등을 추진해 왔다. 그리고 결과물로 '파주시 고엽제 후유증 민간인 피해자에 대한 지원 조례' 제정을 이끌어 냈다. 비록 지방정부 차원이지만 법적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민간인 고엽제 피해자에 대한 지원이 이뤄지게 됐다.
대성동마을 김동구 이장은 "57년간 외면받은 대성동마을 주민을 위한 고엽제 피해자 지원 조례에 격한 감격을 느낀다"며 "접경 지역의 작은 마을도 소외됨 없이 고엽제 피해에 대한 지원을 해준 김 시장 덕분에 오랫동안 쌓인 한이 풀리는 것 같아 감사하다"고 전했다.
파주시에 따르면 대성동마을 민간인 고엽제 피해자들이 내년 1월부터 질환별로 매월 10만 원에서 30만 원씩 지원받는다.
'대성동 마을'은 1953년 정전협정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 조성된 마을이다. 군사분계선을 기준으로 북한에는 '기정동 마을'이 세워졌다. 미국 보훈부의 식물통감계획에 따르면 1967년 10월 9일부터 1971년 12월 31일까지 대성동 마을에 고엽제가 살포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