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코로나 끝나도 고통은 계속…항공업계 살릴 방안 찾아야 [기자수첩-산업IT]


입력 2023.01.26 07:00 수정 2023.01.26 07:13        편은지 기자 (silver@dailian.co.kr)

정부 "재무 건전성, 국민 안전 직결돼"

부채 허덕이는 항공업계 대한 금융 지원 필요

ⓒ제주항공 ⓒ제주항공

북적이는 공항, 예약이 어려운 항공권.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았던 항공업계에 환한 빛이 비춘 것 같지만 업계에선 이를 '섬광'이라 부른다. 어떤 관계자는 '착시'라고도 했다. 잠시 번쩍 하는 것 같아보여도 속 사정은 그렇지 않다는 뜻이다.


공항은 활기를 띠고, SNS에는 일본을 찾은 동료들의 사진이 자주 업로드 되지만 항공업계는 코로나가 휩쓴 잔해를 겨우 치우고 있다. 항공권이 매진되기도 하고, 비행기는 수시로 뜨지만 누적된 적자로 악화된 재무구조가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어서다.


실제 국내 LCC 1위인 제주항공의 지난해 3분기 부채비율은 1872.3%에 달한다. 티웨이항공과 에어부산의 부채비율도 같은기간 각각 2956.6%, 2226.9%를 기록했다. 진에어는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가 영구채 발행으로 겨우 벗어난 상황이다. 늘어난 여객수로 올해 코로나19 이후 첫 흑자 전환이 예상되고 있음에도 항공사들의 표정이 그리 밝지 않은 이유다.


이 가운데 정부는 항공사의 재무구조가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다고 말한다. 지난해 10월 국토부가 이스타항공에 AOC(항공운항증명) 발급을 미루면서 문제삼은 것도 다름아닌 '재무구조'였다. 국토부는 당시 "항공운송사업자의 재무건전성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된다"며 항공사업법령에 따라 이스타항공에 재무구조 개선명령을 내린 바 있다.


일견 옳은 소리다. 많은 인원을 하늘로 띄워 수송하는 일인 만큼 항공사의 재무건전성은 탄탄할수록 좋다. 항공사들이 3년 간의 암흑기에도 불구하고 곧바로 재무건전성을 회복해 안전성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현 상황에서 재무구조가 개선돼야할 항공사는 이스타항공 뿐이 아니다. 정부의 말대로라면, 부채에 허덕이는 수많은 국내 항공사들이 모두 국민의 위험을 담보로 영업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항공사의 재무건전성이 안전과 직결된다면, 하지만 현실적으로 단기간에 재무건전성을 높이는 게 불가능하다면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불가피하다. 3년간 하늘길이 막혀 수익을 못 냈는데, 하루 아침에 승객 좀 늘었다고 해서 재무구조가 회복될 순 없지 않은가.


수천억원 씩 손에 쥐어주라는 게 아니다. 국민의 안전이 걸린 일인 만큼 항공사의 자생력에 맡길 게 아니라 그들의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어줄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의미다. 항공사가 고정적으로 부담해야하는 조종사나 정비사 훈련 비용, 해외 리스 의존도가 높은 항공기에 대한 정부 차원의 보증과 같은 제도적 지원 등은 충분히 고려해볼 법하다.


항공산업은 국가의 기간산업으로, 곧 국가 경제의 토대가 되는 산업 중 하나다. 항공업계 전체의 위축은 국가의 경쟁력과도 직결된다는 의미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대한민국 경제가 인체라면 항공업은 온 몸에 산소를 실어 보내는 동맥 역할을 하는 기간산업”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국민의 안전과 국가 경쟁력을 앞세워 강력한 규제를 펴고 있는 만큼, 같은 의미에서 가장 힘이 들고 어려운 시기에 이들에게 규제를 풀어주고 지원을 늘리는 것 역시 정부가 해야할 당연한 몫이다.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았던 2년 전 고용유지지원금, 무착륙 비행 등으로 업계에 힘을 불어넣었 듯 말이다.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훨훨 날아 국내 항공업계가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는 내용을 기사에 담게 될 날을 기대해본다.

'기자수첩-산업IT'을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편은지 기자 (silver@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