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11조원 가치에도 더딘 성장…스마트항만 산업 속도 ‘UP’ 필요


입력 2023.01.19 13:22 수정 2023.01.19 13:23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지속 성장하는 스마트항만 시장

국내 기술 세계 점유 2.4% 그쳐

정부, 기술 육성·시장 확대 지원

광양항 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 조감도. ⓒ해수부 광양항 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 조감도. ⓒ해수부

11조원 규모 시장 가치를 가진 세계 스마트항만 기술 산업에서 국내 기업 진출이 상대적으로 뒤처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규모가 지속 성장 중인 만큼 관련 산업 육성과 시장 확대를 위한 정책을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해양수산부 등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항만 기술 산업 시장 규모는 2021년 9조4000억원에서 내년에는 10조9000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항만 기술이 적용되는 분야는 선박 화물을 하역하는 안벽크레인, 야적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장비, 야적장 적재를 위한 야드크레인과 항만운영 시스템, 분석 소프트웨어 등이다. 이 밖에도 유·무선 통신망과 부두, 인력 운영 부분에서도 스마트항만 기술이 확산 중이다.


현재 네덜란드 로테르담, 중국 상하이, 미국 롱비치 등 세계 주요 항만이 스마트 전환을 가속하고 있다. 항만 장비도 단순 기계에서 디지털 시스템으로 진화해 기술산업 경쟁력 확보는 물론 항만 경쟁력 자체를 높이는 추세다.


반면, 우리나라 스마트항만 구축은 외국과 비교해 뒤처져 있다. 해수부가 분석한 지난 5년간 국내 항만기술산업 점유 규모는 5000억원 수준에 그쳤다. 자동화 분야 국내 점유율 6.7%, 세계 점유율은 2.4% 정도다. 부품 국산화율도 29.3%에 머물러 있다.


해수부는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한 디지털 전환 확대에 따라 항만의 스마트화가 가속하고 있지만 기술산업 국내 기반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문제 지적에 따라 정부는 오는 2031년까지 국내 시장 90%, 세계 시장 10% 점유를 목표로 관련 기술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19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육성 및 시장 확대 전략’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해수부는 구체적으로 ▲세계 수준의 기술 기반 확보 ▲국내외 항만기술 시장 확보 ▲산업 육성체계 고도화 등 세 가지 전략을 바탕으로 19개 추진과제를 내놓았다.


세계 수준 기술 기반 확보 전략은 국가 기술개발(R&D) 투자와 부품 국산화 등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높이는 내용이다. 더불어 산업간 업계·융복합을 촉진하고 기술인력 양성 내용도 담았다.


크레인·이송 장비 등에 국가 기술개발(R&D)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2025년까지 스마트항만 분야 선진국 수준 기술경쟁력을 확보한다. 자율협력주행기반 화물운송시스템 개발 등 1007억원 규모 5개 R&D 과제와 기술용역을 추진한다.


향후 경쟁력 확보 핵심이 될 장비제어장치 등 전기·전자분야 기술개발 과제를 집중 발굴하는 ‘스마트항만 R&D 추진 로드맵’을 올해 안으로 마련한다. 스타트업 기업을 참여시켜 신규 R&D를 추진해 2030년까지 기술 선도국 도약을 꿈꾸고 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이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육성 및 시장 확대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해수부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이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육성 및 시장 확대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해수부

현재 29.3% 수준인 부품 국산화율도 국내 산업 표준제정, 국제 표준화 적극 참여 등으로 최종 90%까지 높인다는 목표다. 장비·부품을 국산화율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나누고 중소기업 주도 R&D를 추진한다.


세계 시장 흐름에 맞춰 다양한 기업이 장비·싯스템을 통합 공급하는 토탈포트솔루션(TPS)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TPS는 항만 설계부터 건설, 장비 설치, 운영시스템 구축까지 통합 관리하는 체계다.


해수부는 광양항 해양산업 클러스터 내 관련 기업을 모으고 장비제작 공간 확보가 어려운 기업에 유휴 항만공간을 발굴·지원하기로 했다.


인력 차원에서는 최신 신기술·표준화 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우수한 개발 인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항만물류고등학교에 항만장비 관련 교과목 신설을 추진해 관리인력 프로그램도 신설할 예정이다.


기존 항만근로자는 운영 기술 습득을 지원하기 스마트항만 장비 조작·안전 등 교육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국내 기업 성장을 위한 지원으로 광양항 테스트베드, 부산한 신항 등 항만 장비 발주 때 국내 기술 도입에 나선다. 국내 기업 주도로 스마트항만을 구축해 3조원 시장을 확보하고 노후 장비 스마트화 전환, 해외진출지원 등을 통해 시장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광양항 테스트베드 등을 통해 확보한 국내 기술·실적 기반 부산항 진해신항을 세계 최고 수준 스마트항만으로 개발한다.


해외 진출 기업을 위해 타당성 조사비 지원, 해외항만개발 지원 협의체 확대 운영도 진행한다.


해양진흥공사를 통한 금융 지원으로 장비 교체·도입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한다. 자금 융자가 어려운 장비자산 특성을 고려해 자산 도입 금융 지원 방안을 올해 안으로 구체화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항만기술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육성 테스크포스(TF)도 운영한다.


해수부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2026년까지 시장 규모를 1조2285억원으로 키우고 오는 2031년에는 3조9000억원까지 늘린다는 목표다. 경제적 효과로는 3조7344억원의 생산유발 효과, 1조1752억원의 부가가치 유발을 기대한다. 고용 또한 현재 2200명의 5배에 달하는 1만167명을 예상하고 있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이번 전략은 스마트항만 기술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최초 종합적 정책이자 물류안보 확보와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해 꼭 필요한 정책”이라며 “우리 기업, 우리 기술로 세계 스마트항만 시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열린 스마트항만 국제포럼 포스터. ⓒ해수부 지난해 열린 스마트항만 국제포럼 포스터. ⓒ해수부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