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달라진 10년①] 예전엔 건강, 지금은 취업 지원이 가장 필요


입력 2021.11.29 16:42 수정 2021.11.30 15:20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통계청 사회조사 국민 인식 변화

코로나19 탓 생활 여건 만족 줄어

노후 준비 1순위는 ‘국민연금’

통계청이 실시한 2021년 사회조사 결과 국민들은 향후 늘려야 할 복지서비스 1순위로 고용(취업) 지원 서비스를 꼽았다. 사진은 지난 2019년 열린 금융권 공동채용 박람회에 구직자들이 면접을 보고 있는 모습.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통계청이 실시한 2021년 사회조사 결과 국민들은 향후 늘려야 할 복지서비스 1순위로 고용(취업) 지원 서비스를 꼽았다. 사진은 지난 2019년 열린 금융권 공동채용 박람회에 구직자들이 면접을 보고 있는 모습.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흔히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한다. 4차 산업혁명으로 ‘초고속 시대’에 들어서면서 10년이란 세월은 예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많은 것을 바꿔놓는다. 이에 정부는 해마다 다양한 지표들을 조사해 그 결과를 각종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올해는 2년마다 조사하는 복지·사회참여·여가·소득과 소비·노동 5개 분야에 대한 국민 인식을 살폈다. 데일리안은 [달라진 10년] 기획을 통해 올해 조사 결과와 10년 전인 2011년 조사 결과를 비교해 그동안 국민 의식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봤다. <편집자 주>


2011년 우리 국민 가운데 39.2%는 가장 늘려야 할 복지서비스로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서비스’를 꼽았다. 10년이 지난 2021년 보건의료와 건강관리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대답은 14.9%에 그쳤다. 고용(취업)지원 서비스를 원한다는 응답이 28.5%를 기록하며 그 자리를 대신했다. 특히 20대 응답자 40.5%가 고용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해 사회 초년생의 취업에 대한 부담감이 얼마나 큰지 확인할 수 있었다.


29일 통계청 ‘2021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복지 부문에서는 전반적인 생활 여건이 2년 전과 비교해 ‘좋아졌다’는 응답이 31.5%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전 조사(30.9%) 때와 비슷한 수준이나 2019년 48.9%와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 2년 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 전체가 겪은 어려움이 조사에 그대로 반영된 모습이다.


보건·의료서비스 만족도는 10년 사이 크게 늘었다. 2011년 ‘좋아짐’이란 응답이 39.5%였던 반면 올해는 47.2%까지 올랐다. 다만 이 또한 2019년 조사 당시 58.7%보다 낮은 수치다.


사회보장제도는 과거보다 좋아졌다는 응답이 48.1%로 10년 전 31.6%와 비교해 16.5%p 증가했다. 문화·여가생활은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나빠졌다는 응답이 30.4%를 기록해 2011년 17.9%보다 12.5%p 많아졌다.


앞으로 늘려야 할 공공시설로 보건·의료시설을 꼽은 응답자는 2021년 24.2%, 2011년 23.9%로 비슷했다. 보건·의료시설 다음으로 사회복지시설이 2위를 차지한 것도 같았다. 2021년에는 응답자의 14.7%, 2011년에는 20.8%가 사회복지시설을 늘려야 한다고 답변했다.


향후 확대해야 할 복지서비스는 달라졌다. 2011년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서비스를 늘려야 한다는 응답이 39.2%로 가장 많았던 반면 2021년에는 고용(취업)지원서비스가 28.5%로 1위를 차지했다. 각종 사회보장제도와 같은 소득지원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15.5%로 뒤를 이었다. 보건·의료건강관리서비스는 3위(14.9%)로 밀렸다.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는 응답은 줄었다. 2011년 전체 응답자 75.8%가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답했으나 2021년에는 67.4%만이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노후를 대비하는 방법 1순위는 예나 지금이나 국민연금이었다. 2011년에는 55.2%의 응답자가, 2021년에는 59.1%가 국민연금으로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식과 채권 등으로 노후를 준비 중이라는 응답은 2011년 1.0%에서 2021년 1.9%로 늘었다.


60세 이상 고령자 가운데 72.5%는 본인과 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한다고 답변했다. 2011년 60.1%보다 12.4%p 늘어난 수치다. 자녀 또는 친척에게 지원을 받는다는 응답은 2011년 32.0%에서 2021년 14.1%로 줄었고 정부·사회단체 지원을 받는 경우는 7.7%에서 13.4%로 늘었다.


자녀와 함께 사는 고령자는 2011년 33.4%에서 2021년 30.8%로 감소했다. 2021년 자녀와 같이 살지 않는 이유로는 ‘따로 사는 게 편해서’가 32.8%로 가장 많았고, ‘독립생활이 가능하므로(31.8%)’와 ‘자녀에게 부담이 될까 봐(20.1%)’가 뒤를 이었다.


장애인 복지사업이 충분하냐는 질문에 2011년 경우 ‘계속적으로 확대(33.6%)’와 ‘재원이 허락한다면 계속 확대(45.2%)’ 등 늘려야 한다는 답변이 78.8%를 차지했다. 올해 조사에서는 ‘계속 확대’가 28.0%, ‘재원이 허락한다면 확대’가 44.3%로 나타나 72.3%가 장애인 복지사업 확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밖에 선호하는 장례 방법으로는 2011년 ‘화장 후 자연장(수목장 등)’ 41.1%, ‘화장 후 봉안(납골당 등)’ 39.3%, ‘매장’ 17.2% 순이었다. 올해는 ▲화장 후 봉안 시설 안치 34.6% ▲화장 후 자연장 33.0% ▲화장 후 산, 강, 바다에 뿌림 22.3% ▲매장(묘지) 9.4%으로 달려졌다.


▲[달라진 10년②] ‘나는 중산층’ 11% 증가…“계층 상승 갈수록 어려워”에서 계속됩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