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는 내달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호관세 등 무역협상과 관련, 한국에 ‘최선’의 최종 협상안을 내놓으라고 강하게 압박한 것으로 29일(현지시간) 알려졌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사흘도 채 남겨두지 않은 만큼 한국과 미국 간 무역협상이 중대 고비를 맞고 있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최근 한국 정부 당국자에게 트럼프 대통령에게 최종적인 제안을 제시해야 할 때 “모든 것을 가져와야 한다”며 “관세 협상과 관련해 최선의, 최종적인 무역협상안을 테이블에 올려달라”고 촉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 측에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과 일본, 영국 등 주요 파트너와 이미 다수의 무역 협정을 체결한 상황에서 왜 한국과 새로운 협정이 필요한 것인지 설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고 WSJ은 전했다.
앞서 전날 그는 미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을 스코틀랜드에서 만났다고 확인하면서도 추가적인 세부 내용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러트닉 장관과 김 장관의 스코틀랜드 회담 자리에는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동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지난 24∼25일 러트닉 장관을 만나 두차례 협상을 했다. 24일에는 워싱턴DC에서 만났고 25일에는 그의 뉴욕 자택까지 찾아가 협상을 이어갔다. 이어 러트닉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을 수행해 영국 스코틀랜드를 방문하자 김 장관과 여 본부장도 스코틀랜드를 찾아가 러트닉 장관 등을 만났다.
WSJ은 “트럼프 정부 관계자와의 회담을 진행하는 한국 정부 움직임은 8월1일 관세(25%) 부과 전에 협상을 신속히 마무리하려는 한국 측 긴급성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러트닉 장관은 이날 미 C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는 한국을 비롯한 무역협정 미합의 국가들과의 협상과 관련, “금요일(8월1일)까지 일단락지을 것”이라며 “8월1일은 미국이 새로운 관세 세율을 책정하는 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많은 나라들이 시장을 30%, 50% 개방하는 괜찮은 제안을 가지고 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아니다. 나는 그들이 더 개방하길 원한다’고 하면 그들은 75% 개방안을 가지고 나왔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2주 안에 의약품 관세 정책을 가지고 나올 것이고 그것은 15%보다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