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해수부 "낙지 유전체에서 스트레스 낮춰주는 물질 발견"


입력 2020.04.27 06:00 수정 2020.04.27 05:21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특허출원 완료, 2023년까지 신약 개발 기술이전 추진

낙지에서 뇌기능 개선과 스트레스 경감 효과가 있는 신경 조절물질이 발견돼 신약 또는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낙지에서 감정·인지·식욕 등 우리 몸의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는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신경 조절물질이 발견돼 특허를 출원했다고 27일 밝혔다.


해수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8개 부처는 유전체 분야 기초·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산업화하기 위해 2014년부터 인간 및 동식물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는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는 2018년부터 ‘해양수산생물 유전체정보기반 헬스케어·재생의료소재 개발’을 과제로 추진해왔다.


연구팀은 낙지가 무척추동물 중 가장 지능이 높고 복잡한 뇌신경계를 가졌다는 점에 착안해 유전체 연구를 시작했으며, 그 결과 신경조절물질인 ‘세파로토신’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이후 ‘세파로토신’을 실험용 쥐에 투입한 결과, 이 물질이 인지기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줬을 때 나타나는 우울행동을 감소시키는 항스트레스 기능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낙지의 신경 조절물질이 포유류 동물에도 효능이 있음을 세계 최초로 밝혀낸 성과로, 뇌의 신경세포에서 신경조절물질이 만들어지고 이 같은 신경조절물질은 뇌 세포 간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해 학습·기억·감정 등 조절에 관여한다는 뇌기능 개선 신경전달물질 작동 원리라는 설명이다.


신경전달물질 작동 원리 ⓒ해수부 신경전달물질 작동 원리 ⓒ해수부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지난달 특허를 출원했으며, 향후 특허등록을 마치고 이를 활용한 신약 개발을 위해 2023년까지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술이전이 이루어질 경우 향후 임상시험 등을 거쳐 인지기능 장애나 우울증을 예방·치료하는 바이오 신약 또는 건강기능식품 개발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낙지 ‘세파로토신’의 경우 이미 유전체정보 분석이 완료돼 앞으로 세파로토신 유사체를 인공적으로 합성해 다양한 종류의 신경 조절물질 개발도 가능해 질 것으로 보고 있다.


김인경 해수부 해양수산생명자원과장은 “유전체연구는 생명체의 기본 설계도를 밝혀내 새로운 물질을 찾고 이를 다각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의미 있는 연구”라면서 “앞으로도 해양수산 분야에서 관련 연구가 지속되고, 우수성과는 상용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