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韓, 바이오산업 생태계 조성 위해 ‘산업주체 밀집·투자·병원협력’ 늘려야”


입력 2020.01.30 07:06 수정 2020.01.30 07:06        이도영 기자 (ldy@dailian.co.kr)

한경연, 美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 벤치마킹한 제도 마련 주장

연구중심병원 육성·M&A 제도 개선·연구결과 사업화 지원 강조

미국 보스턴과 한국의 바이오클러스터 특징 비교.ⓒ한국경제연구원 미국 보스턴과 한국의 바이오클러스터 특징 비교.ⓒ한국경제연구원

높은 경제효과를 창출하는 바이오산업의 생태계 조성을 위해 세계적 바이오 단지인 미국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를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의 성공 비결을 ‘산업주체 밀집’, ‘투자’, ‘병원협력’으로 보고 관련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30일 한국은 보스턴과 같은 바이오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클러스터 주변 우수 대학·병원·기업 등 산업주체의 유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인수합병(M&A) 제도 개선 등 벤처기업에 대한 민간투자 활성화와 병원 연구결과의 사업화 지원제도 마련도 동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는 미국 바이오전문 언론 ‘GEN’ 선정 5년 연속 미국 내 1위 바이오단지로 선정된 세계 최고의 제약·의료 바이오단지다. 클러스터 내에서 약 1000여 개의 기업이 74000개 이상의 일자리와 약 2조달러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한국의 제약·의료 중심 바이오클러스터는 전국에 7개주가 있으며, 1980년대부터 자생적으로 조성된 보스턴과 달리, 2000년대에 정부 주도로 시작됐다. 한경연은 보스턴과의 특징을 비교해 국내 클러스터의 바이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보완이 필요한 세 가지를 꼽았다.


한경연은 먼저 국내 클러스터 내 대학·기업·병원 등 우수 산업주체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바이오산업에서 병원은 임상시험·중개연구에서 핵심 역할인데, 한경연에 따르면 국내는 연구중심병원이 10개에 불과하다. 그나마도 수도권에 포진돼있어 클러스터 내 연구중심병원을 추가 지정·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반면 보스턴 클러스터는 하버드와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 등 생명과학분야 명문대와 매사추세츠종합병원 등 대형병원, 스타트업부터 글로벌 제약사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밀집해있다. 대학은 인재를 공급하고, 병원은 임상연구를 통한 사업을 위해 모여들며 자생적으로 바이오생태계가 조성됐다는 분석이다.


두 번째로 벤처기업에 대한 민간투자가 활발한 보스턴 클러스터와 달리, 국내 클러스터는 정부지원에 편중돼 투자회수 방법이 제한적이라고 꼬집었다.


한경연은 지난 2018년 보스턴 클러스터가 위치한 매사추세츠주의 벤처캐피탈 투자액은 48억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 기업공개(IPO)·M&A 등 다양한 투자회수 방법으로 벤처기업에 대한 민간투자를 유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한국은 벤처기업 자금 조달 시 정부 의존도가 높고, 기업당 IPO와 M&A 금액 규모도 미국의 1~2% 수준에 그쳐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 기업을 상대하기 버거운 상황이라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병원의 기술사업화 한계가 존재하고 산병협력 지원조직이 전무한 점을 들었다.


한경연은 “우리나라는 병원이 기술사업화를 위한 자회사를 설립하기 어렵기 때문에 미국처럼 병원이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사업화하기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술사업화를 위해 병원과 대학·기업 간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은 국내 바이오클러스터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개선방안으로 현재 수도권에 집중된 연구중심병원을 지방에도 육성해 클러스터와 연계를 강화하자고 제안했다.


이어 병원 연구결과의 적극적인 사업화를 지원하고, 병원과 기업 간 협력을 촉진하도록 병원 내 산병협력단 설치를 위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간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M&A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한경연은 주장했다. 또 대기업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 보유를 허용해 스타트업 투자를 유도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한경연은 “지주회사가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자회사의 지분율 수준을 완화해 M&A를 촉진해야 한다”며 “벤처기업 인수 시 대기업집단에 편입을 유예해주는 기간을 늘려 장기투자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도영 기자 (ldy@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도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