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온라인’ 신 유통 트렌드 맞물려 성장 지속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에 집중한 이마트의 도전이 성과를 내고 있다. 대형 유통업체에 대한 의무휴업 확대와 신규 출점 제한 등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창고형 할인매장인 트레이더스와 PB브랜드인 노브랜드를 통해 선방하고 있다. 여기에 배송인프라 확대를 통해 규모를 키워가는 이마트몰까지 3개의 주요 사업이 이마트를 떠받치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마트의 올 3분기 누적 총매출액은 10조811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6.0% 늘고, 영업이익은 1.8% 감소했다. 사업부문별로 보면 할인점의 영업이익이 13.7% 감소하면서 전체 실적을 끌어내렸다. 올해 중국 시장 철수와 비효율 자산 매각 등에 따른 예고된 부진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특히 올해는 국내 할인점 점포 수가 유일하게 감소한 해이기도 하다. 2000년대 들어 매년 10곳 이상 증가세를 기록했던 대형마트는 1인 가구 증가와 편의점 등 신규 유통채널의 증가 여파로 성장세가 둔화된 상태다.
이마트는 올해 사드 보복에 따른 직격탄으로 중국 진출 20년 만에 전면 철수를 결정하고 현지 5개 매장의 매각을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110억원의 일회성 비용이 발생하면서 실적 하락세를 키웠다. 이 비용을 제외하면 전년 대비 영업이익 감소폭은 절반으로 줄게 된다.
국내에서는 하남점 잔여 용지와 평택 소사벌 용지, 시흥 은계지구 용지와 이마트 부평점을 처분했다. 최근에는 코스트코코리아 지분과 임대 부동산도 매각하며 내실 강화에 집중했다.
이 과정에서 새로 유입된 자금은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중인 트레이더스와 이마트24, 이마트몰 등에 재투자되고 있다.
이마트 트레이더스 수원점 실내 전경.ⓒ이마트
경기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이마트몰'의 전용 물류센터 전경.ⓒ이마트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