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계 대형마트 코스트코의 ‘배짱영업’이 국내 대형마트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의 입장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코스트코가 지난 9일에 이어 23일에도 대형마트 휴무일을 어기며 논란이 커지자, 지자체에서의 강력대응을 넘어 이제는 대선후보까지 나서 강력한 유통업 규제를 공약으로 걸며 대형마트 업계 자체를 더욱 압박하게 됐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자 대형마트 업체들은 코스트코에 따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다. 가뜩이나 많은 규제를 받아 최악실적을 기록 중인데, 코스트코의 무리한 행동이 전체적인 대형마트 업계에게 피해를 주게 됐다고 본 것이다.
24일 유통업계 및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는 코스트코가 배짱영업을 한 다음날인 이날 한 전통시장을 찾아 “골목상권 보호가 경제 민주화의 출발점”이라며 “대형마트 입점을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문 후보는 대형마트의 영업시간을 더 줄이고 판매 품목을 제한한다는 약속까지 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에 앞서서는 서울시가 라면과 콩나물 등 고정적 수요가 있는 50여종의 품목을 대형마트에서 판매하지 못하게 하는 방안까지 추진 중이다.
문제는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문 후보가 영세상인 표심잡기를 위해 던진 이같은 공약이 다른 대선후보자에게도 영향을 끼칠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알려진 바로는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 역시 지난 3월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재래시장 보존 취지에서 대형마트가 진출하지 못하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고, 안철수 후보 또한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네트워크를 지향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향후 대형유통업체 규제에 대한 공약이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정치권에서 대선후보들이 모두 골목상권 보호와 재래시장 활성화 등에 초점을 맞출 경우 대형마트 업계는 지금보다 더 큰 압박을 받게 된다.
코스트코 매장 이미지.
이와 관련, 대형마트 업계 한 관계자는 코스트코 측에 대한 불평을 쏟아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정부나 지자체 등에 협력해 어떻게든 상생을 해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코스트코 마음대로 움직임에 따라 전체적으로 대형마트 업계가 모두 피해를 보고 있다”며 “오히려 코스트코는 다른 대형마트의 방해요소가 되고 있다”고 불평했다.
즉 코스트코가 의무휴업을 지키지 않아 이슈로 떠오르면서, 대선후보들이 경제민주화 차원에서 다시 전체적인 대형마트 규제에 나서게 됐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대형마트의 또다른 관계자는 “현재도 규제가 너무 많은 상황인데, 대선을 앞두고 더 강한 규제를 내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며 “영세상인을 생각한다면, 대형마트 내 입점해 있는 중소업체들도 생각해 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형마트 건물에 위치한 동물병원이나 세탁소 등을 운영하는 업체들 역시 모두 영세상인들이지만, 대형마트 내 있다는 이유로 휴무일과 영업시간을 똑같이 적용받고 있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대선 주자들이 영세상인과 전통시장을 신경쓰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마트 내 있는 중소상인들은 오히려 골목 중소 슈퍼마켓보다 못한 상인들도 많다”며 “이들에 대한 관심과 방안도 찾아줘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권주자들의 더욱 강력해진 대형마트 규제 공약 속에 코스트코의 배짱영업은 언제까지 이어질지, 또한 이로 인해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의 국내 대형마트 업계는 어떻게 살길을 모색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데일리안= 송창범 기자]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