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광역 소각시설 구축,‘지속 가능한 자원순환도시’
2026년부터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가 시행될 예정이지만 경기 파주시는 관내 발생 쓰레기 전량을 자체 소각장에서 처리, 쓰레기 대란 우려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파주시는 지자체마다 2026년부터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로 쓰레기 대란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가 운영하는 소각장 2곳에서 연간 7만t의 생활폐기물 전량을 자체 소각 처리할 수 있어 ‘폐기물 대란’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고 밝혔다.
파주시 소각장 전경 ⓒ파주시 제공
파주시는 현재 탄현면 낙하리 환경관리센터 내 광역소각시설, 운정 환경관리센터 내 소각장 등 2 곳에 소각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두 곳의 하루 최대 폐기물 처리 용량은 각각 200t과 90t으로, 이를 통해 파주시가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생활폐기물의 총량은 연간 7만 t에 이른다.
시는 지난 2002년부터 소각 중심의 폐기물 처리 체계를 구축하고, 소각 후 발생하는 잔재물을 처리하기 위한 2만8370㎡ 규모의 자체 소각재 매립시설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시는 관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폐기물에 대한 자체적인 처리능력을 완비한 상태인 만큼 정부의 이번 '직매립 금지' 방침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없을 뿐 아니라, 수도권매립지 반입 제한에 따른 폐기물 대란 우려가 전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기존 소각장의 노후화와 계속되는 인구증가로 점차 용량이 떨어지며 부족해 질 것으로 예상되자 하루 700t 규모의 광역 소각시설과 하루 400t규모의 단독 소각시설 신설을 탄현면과 파평면, 운정 등에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광역 소각장 건설사업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전략영향평가 본안을 협의 중에 있으며, 2031년 준공을 목표로 차질 없이 진행 중이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파주시는 이미 직매립을 하지 않는 선진적 처리 체계를 갖추고 있어 직매립 금지 정책의 직접적 영향은 사실상 없다”며 “앞으로 추진될 신규 소각시설 건립은 무엇보다 주민들과의 긴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투명하게 진행할 예정으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 도시 파주’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