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장기밀매 청정국'이라더니...현실은?

전기연 기자 (kiyeoun01@dailian.co.kr)

입력 2025.10.28 10:11  수정 2025.10.28 10:12

美 논문 "새로운 '브로커 허브 국가'로 떠올라"

주변국 단속 강화로 밀매 거점 이동하면서 변질

캄보디아가 장기 밀매 브로커 허브 국가로 떠오르고 있다는 논문이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28일 동아일보에 따르면, 지난 4월 미국 조지메이슨대 연구진은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E)급 국제학술지를 통해 "캄보디아가 국제 장기 밀매 시장의 새로운 '브로커 허브 국가'로 떠올랐다"고 밝혔다.


캄보디아 프놈펜에 있는 범죄단지 ⓒ연합뉴스

논문에 따르면 캄보디아에서 2012~2022년까지 11년 간 최소 10건의 장기 밀매 사건이 벌어졌다. 실제로 일당 12명이 2023년 7월 인도네시아 자국민 122명을 캄보디아 프놈펜으로 유인해 콩팥을 각 9000달러(한화 1290만원)에 밀매했다가 체포된 사건이 일었다. 이들은 '고수입 일자리'를 제안받고 현지에 끌려갔다가 감금된 채 수술을 강요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전까지 캄보디아는 장기 밀매 청정국으로 분류됐으나 기존 주요국들의 단속 강화로 밀매 거점이 이동하면서 변질되고 있다.


그 이유로 부패한 사법 구조와 느슨한 국경 관리가 꼽히고 있다. 국경 관리가 허술해 밀매 세력이 쉽게 드나들며, 불법 시술이 이뤄져도 단속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장기 밀매 거점으로 지목된 현지 병원 대부분이 중국의 지원으로 건립된 곳으로 알려졌다.


이에 일각에서는 한국인 피해자 일부가 장기 밀매에 이용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전기연 기자 (kiyeoun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