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핵융합 조기 실현 위한 핵심기술 로드맵 논의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입력 2025.10.22 14:01  수정 2025.10.22 14:01

2035년 핵심기술 확보 목표로 핵융합 추진 가속

국가핵융합위원회서 최종 확정 예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경. ⓒ데일리안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전략 포럼’을 열고,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로드맵(안)’을 공개해 핵융합에너지 조기 실현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핵융합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민관 합동 기술개발 전략을 국민과 공유하고,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김성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을 비롯해 산·학·연 전문가, 지자체 관계자, 일반 국민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과기정통부의 주제 발표를 시작으로 패널 토의와 현장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김성수 실장은 “핵융합은 인류가 꿈꿔온 궁극의 청정에너지로,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핵심기술을 조기에 확보한다면 우리나라는 핵융합 선도국으로 도약할 것”이라며 “산·학·연과 국민의 지혜를 모아 실효성 있는 기술개발 로드맵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로드맵(안)은 지난해 7월 발표된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의 후속 조치다. 핵융합 상용화에 필요한 8대 핵심기술을 전략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추진 방향을 담고 있다.


주요 기술은 ▲노심 플라즈마 ▲디버터 ▲가열 및 전류구동 ▲초전도 자석 ▲블랑켓 ▲핵융합 소재 ▲연료주기 ▲안전·인허가 등이다.


과기정통부는 민관 협력 강화와 첨단 연구 인프라 구축을 통해 2035년까지 핵심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는 단계별 기술개발 마일스톤을 제시했다. 참석자들은 기술 조기 확보를 위한 정부 지원 확대와 인프라 고도화, 인력 양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포럼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해 로드맵(안)을 수정·보완한 뒤,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는 ‘국가핵융합위원회’를 통해 최종 확정·발표할 예정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