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한탄강 청년어부 같은 어업인 위해 다양한 지원책 시행
연천에서 민생경제 현장투어에 나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4일‘한탄강 청년어부’를 만났다.
이는 바다에서 하는 어업 외에 내수면어업(육지의 하천, 호수 같은 담수에서 이뤄지는 어업)을 지원하겠다는 김 지사의 메시지를 엿볼 수 있다.
김 지사에게 어촌은 특별하다.
김 지사가 2019년 경제부총리에서 물러난 뒤 전국 바닷가의 어촌계를 다니며 직접 그물을 던져 전어·낙지·멸치를 잡았기 때문이다.
이날 김 지사가 만난 ‘한탄강 청년어부’는 구독자 17만명을 자랑하는 유튜브 채널 이름이자 운영자인 1988년생 김은범씨의 닉네임이다.
김 지사는 임진강(임진강은 한탄강과 같은 줄기) 수위 점검을 한 뒤 조업을 마치고 돌아온 한탄강 청년어부의 고깃배 ‘왕건1호’에 성큼 올라섰다. 청년어부가 활어통 뚜껑을 열어 갓 잡아온 물고기를 뜰채로 들어올려 김 지사에게 보여줬다.
김 지사는 “와!”하고 입에서 탄성을 냈다. 만선까지는 아니어도 활어통에는 물고기가 가득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자연산이네요”김 지사의 탄성이 이어졌다.
김 지사가 “이건 모래무지고, 저 큰 건 뭐지요?”라고 묻자 ‘메기’라는 답이 나왔다. 쏘가리, 장어, 빠가사리 등도 보였다.
청년어부 김은범씨가 또 한 개의 활어통을 열자 참게가 그득했다.
김 지사는 “멋지네요. 많이 잡았네요”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청년어부와 함께 어획한 참게를 자동차로 옮겨 실었다. 직접 참게를 손으로 들어올리면서 “무나요?”라고 묻기도 했다.
청년어부 김씨는 한탄강(또는 임진강)에서 직접 잡은 물고기로 밀키트를 제작해 온라인 판매하고 있다. 전국에서 민물고기로 밀키트를 만든 것은 그가 처음이다. 한탄강 어획물로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만들 꿈을 가지고 있다.
‘한탄강 청년어부’는 단순한 유튜브 채널이 아니라 하나의 ‘새로운 어업모델’이라 할 수 있다.
김씨는 2017년 내수면 어업을 시작했으며 2024년 수산업경영인 어업인 후계자로 선정됐다. 그가 제작한 유튜브 영상 가운데 황복잡이 영상은 85만 조회수를 기록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김 지사와 도는 되살아난 ‘임진강 황복’처럼, 어촌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어민들의 만선(滿船)을 경기도가 든든하게 뒷받침해나가겠다는 것이 김동연 지사가 ‘한탄강 청년어부’를 만난 이유다.
경기도는 한탄강 청년어부 같은 어업인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중이다.
도는 우선 )매년 20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뱀장어, 쏘가리 등 7종을 강하천에 방류하고 있다. 또 인공산란장 347개를 관리중이며 내수면 어선의 노후 엔진 교체 등을 지원하고 있다.
도는 귀어 희망인들의 귀촌과 정착을 지원하고 있다. 귀촌 지원은 귀어학교 운영, 귀어귀촌컨설팅(창업어가 멘토링, 어촌정착상담사 등)이다.
정착 지원은 산업경영인 육성 자금, 귀어 창업 및 주택구입 등 대출 지원(이율 1.5%), 청년어촌정착지원(월 최대 110만 원 지급), 귀어인의 집(주거 지원) 등이다.
도는 전국 최초로 어업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하고 보상하는 ‘농어민 기회소득’을 지급하고 있다.
오늘 한가지 아쉬운 점은 제철(산란기인 4~6월)이 아닌 탓에 ‘임진강 황복’은 구경하지 못했다. 한때 소멸 위기에 처한 황복을 지키기 위해 경기도는 2003년부터 23년째 치어를 방류하고 있다. 이런 지속적인 정책에 어민의 노력이 어우러져 황복은 여전히 임진강의 명물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