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위 양문석 의원실에 '뉴스 댓글 서비스 개선안' 제출
악성 댓글 지수가 일정 기준 넘기면 댓글창 비활성화
네이버가 뉴스 서비스에 댓글을 무더기로 달아 여론몰이에 나서는 이른바 '좌표 찍기' 등에 대응하고자 정치 분야 중심의 댓글 서비스 개선안을 마련한다.
13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네이버로부터 제출받은 '네이버 뉴스 댓글 서비스 개선안'에 따르면 네이버는 정치 섹션으로 분류된 기사에 대해 댓글 영역을 비활성화하고, 이용자가 직접 '전체 댓글 보기'나 '언론사 댓글로 이동'을 선택해야 댓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네이버는 공감·비공감 트래픽이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댓글 목록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하는 기능을 추가하고, 댓글 정렬 방식을 최신순으로 하는 정책을 지난달부터 적용했다.
이와 함께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타인의 명예나 사생활, 초상권 등을 침해하는 게시물에 대해 게시 중단 요청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월 평균 1만5000건~2만건의 콘텐츠를 임시 조치(삭제)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네이버는 향후 '악성 댓글 지수' 제도를 도입해 지수가 일정 기준을 넘기면 자동으로 댓글창을 비활성화하거나 노출 방식을 제한하는 형태의 시스템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정책은 일본 야후재팬이 2021년 10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AI(인공지능) 기반 악성 댓글 점수화 제도를 모델로 한 것이다. 점수가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해당 기사의 댓글창을 자동으로 닫는다.
한편, 양 의원은 이번 국정감사에서 네이버 뉴스 서비스 정책을 점검하기 위해 김수향 뉴스 총괄 전무를 증인으로 신청했었다. 하지만 네이버가 댓글 서비스 개선을 약속하며 증인 신청을 철회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