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균형·행복공간 조성 위한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추진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입력 2025.09.30 14:30  수정 2025.09.30 14:30

건축공간문화자산 활용 사례(서울공예박물관).ⓒ국토부

국토교통부은 30일 서울에서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한다.


간담회의 주제는 '국토 균형성장 및 국민행복공간 조성을 위한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이다. 간담회에는 전문분야별 건축사 6인, 국가건축정책위원장, 건축계 3개 단체(한국건축사협회, 대한건축가협회, 한국건축학회) 회장, 건축공간연구원장 등이 참석한다.


이번 간담회는 국토 균형성장, 특히 지방 중소도시 육성을 위한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추진방안 모색을 위해 마련됐다. 지방소멸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사람이 가보고-머물고 싶은 지방도시를 만들기 위한 건축공간문화자산 활용 등을 논의한다.


건축공간문화자산은 한옥, 근대건축 등 역사·문화적·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는 건축물 및 공간으로 지자체 기초조사를 통해 전국적으로 6657개소가 분포돼 있다.


이어 도서관·미술관·주민센터 등 공공건축 공간을 '국민행복공간'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함이다. 집-일터를 반복하는 일상에서 우리 삶과 경험을 풍요롭게 하는 공공건축 공간을 만들기 위한 방안을 검토한다.


아울러 한옥·목조건축 활성화를 위해 추진됐다. 기후위기 도전 속에서 건축분야 탄소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한옥·목조건축 지원방안을 살펴본다.


한옥·목조건축은 아파트 중심의 거주·도시환경에 다양성을 부여하는 한편, 우리 건축문화·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질적인 논의를 위해 도시·건축 디자인, 공공건축, 지역 현장 등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가 논의에 참여한다.


간담회에 참석한 조병수 BCHO 건축사사무소 대표는 "우리나라는 아름다운 국토 경관을 보유하고 있다"며 "국토 경관을 존중하는 개발이 이뤄져야 하며 특히 지방도시의 경우, 지역만의 이야기와 매력을 살릴 수 있는 도시건축 디자인 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승규 블랭크건축사사무소 대표는 "빈 건축물이 전국적으로, 특히 지방도시에 수없이 많은데 이를 방치하면 흉물, 활용하면 자산이 된다"며 "빈 공간에 디자인을 입혀 영감을 주는 편안한 문화·휴식공간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위한 '지방소멸 대응 건축사'를 제안한다"며 "빈 건축물을 공공공간으로 무상제공할 경우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국토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제시된 의견들을 종합, 건축공간문화자산 활용 확대, 건축사와 협력을 통한 빈 공간 문제 대응, 한옥·목조건축 활성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공공건축물 설계공모의 공정성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을 연내 추진한단 방침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