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는 16일(현지시간) 반도체와 의약품 품목 관세가 자동차에 부과된 25%보다 높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 등 전략 품목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중으로 조만간 고율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
미 ABC방송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영국 국빈 방문을 위해 백악관을 나서며 “반도체와 의약품은 이익률이 (자동차보다) 더 높다”며 “반도체는 (관세를) 더 낼 수 있고, 의약품도 더 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앞서 반도체 품목관세에 대해 ‘상당한 관세’를 예고하며 한때 100%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했고, 의약품에 대해서는 150∼250%의 관세를 거론한 바 있다.
이어 ‘자동차 관세를 타협해서 25%에서 15%로 낮추면 미국 자동차 제조사들이 피해 본다는 우려가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난 아무 것도 타협하지 않았다”며 “그들은 수년간 아무 관세도 내지 않았지만 이제 그들은 15%를 내고 있다”며 고 답했다. 미국 자동차 업계는 그동안 미국이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EU)에 대해 자동차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무역합의를 타결한 이후 불만을 제기해 왔다.
미 상무부는 이날 국가안보를 이유로 향후 몇 주 내에 추가 자동차 수입 부품에 대한 산업계의 관세 부과 요청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아직 관세가 적용되지 않은 자동차 부품 중 국가안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품목이 있다면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의 관세를 처음 부과한 것도 자신이었다며 관세정책의 성과를 강조하는 것도 빼놓지 않았다. 그는 “내가 오기 전까지 우리한테 아무것도 내지 않았던 유럽연합(EU)은 관세 때문에 9500억 달러(약 1311조원), 일본은 6500억 달러를 내고 있다는 걸 잊지 말라”고 강조했다.
연방대법원에서 심리하는 관세 위법 여부 소송에 대해서도 승소에 대한 자신감을 내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법률 전문가 모두 우리가 그 건을 이겼다고 말하지만 여전히 지켜봐야 한다”며 “대법원은 (지금까지) 훌륭했고 매우 공정하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또 “우리가 그 사건을 이긴다면 미국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훨씬 더 부유해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우리는 사람들이 빚을 없애도록 도울 수 있다”며 “우리는 국민을 도울 수 있으며 심지어 다른 나라들을 도울 수 있다”고 부연했다.
그는 미국 내 안보 우려가 제기된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처분 방안에 대해서는 “나는 중국과 합의에 도달했고 금요일(19일)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하고 모든 것을 확정하려고 한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틱톡의 미국내 사업권을 인수하고 싶어 하는 회사에 관해서는 “매우 큰 기업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미·중 양국은 14∼15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4차 고위급 회담을 열고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넘기는 방안에 대해 큰 틀에서 합의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부터 사흘 동안 영국을 국빈 방문한다. 미 대통령이 두 차례나 국빈으로 영국을 방문하는 건 전례가 없는 일이다. 그는 1기 때인 2019년에도 영국을 국빈 방문해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제공하는 화려한 왕실 의전을 받은 적이 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