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운용, 샤오미 밸류체인 ETF 첫선…“중국 제조업 기반의 핵심 될 것"

서진주 기자 (pearl@dailian.co.kr)

입력 2025.08.27 15:20  수정 2025.08.27 15:28

9월 2일 ‘1Q 샤오미밸류체인액티브’ 신규 상장

AI 실용화 가속 및 中 제조업 진화 속 샤오미 ‘주목’

샤오미 투자 비중 25%…국내 상장 ETF 중 최대

최소 매매 단위 제한 없이 관련 기업들에 투자 가능

김태우 하나자산운용 대표이사가 27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1Q 샤오미밸류체인액티브 ETF 신규 상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데일리안 서진주 기자

올해 들어 하나자산운용이 상장지수펀드(ETF)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는 가운데 샤오미를 중심으로 한 중국 대표 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을 선보인다. 최근 중국의 주요 기술주가 현지 증시를 견인하고 있는 만큼 이번 신상품이 더욱 주목되고 있다.


김태우 하나자산운용 대표이사는 27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1Q 샤오미밸류체인액티브 ETF 신규 상장 기자간담회’에서 “샤오미는 중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글로벌 패러다임으로 ‘인공지능(AI)의 실용화 가속’을 꼽았다. 그는 “AI는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기술 변화”라며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AI 투자를 확대하고 있고, 모든 산업 영역에서 AI가 빠르게 도입돼 우리 삶을 혁신적으로 바꿔가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제조업의 구조적 진화에도 주목했다. 그는 “연초 딥시크가 공개된 이후 미국과 중국의 기술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며 “제조업 기반 하드웨어 AI 기술에서는 중국이 상당한 경쟁력을 자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변화의 교착점에서는 AI 기반 제조업 기술을 보유하고, AIoT(인공지능 사물인터넷)를 추진하는 기업들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그러면서 “샤오미가 중국 제조업 기반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샤오미의 올해 2분기 매출은 1160억 위안(한화 22조43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조정 순이익은 75.4% 급증한 108억 위안(약 2조89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매출과 조정 순이익 모두 3개 분기 연속 1000억 위안, 100억 위안을 돌파했다.


스마트폰 출하량은 동남아시아 1위, 유럽 2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신형관 중국자본시장연구소 대표이사는 “샤오미의 대외 사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전했다.


이어 “샤오미는 하드웨어 회사를 넘어 사람·차량·가정을 연결하는 AI 기반 통합 테크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향후 10년 동안 수익·기술·생태계 측면에서 큰 성장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김승현 하나자산운용 ETF·퀀트솔루션본부장이 27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1Q 샤오미밸류체인액티브 ETF 신규 상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데일리안 서진주 기자

하나자산운용은 샤오미를 혁신기업으로 판단했다. 샤오미가 보유한 제품 라인업인 ▲스마트폰·웨어러블 ▲전기차 ▲반도체 ▲가전 및 라이프스타일 ▲휴머노이드 로봇 ▲소프트웨어 등을 고려하면 기존 혁신기업들을 위협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승현 하나자산운용 ETF·퀀트솔루션본부장은 “샤오미는 6개 영역에서 1등 기업을 위협할 정도의 육각형 기업”이라며 “글로벌 최고, 유일의 스마트폰·스마트홈·스마트카를 잇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하나자산운용은 다음달 2일 ‘1Q 샤오미밸류체인액티브’를 신규 상장한다. 해당 ETF는 샤오미를 약 25% 비중으로 집중 투자해 국내 상장된 ETF 중 샤오미에 대한 투자 비중이 가장 높다. 나머지 75%는 중국 대표 테크 기업에 투자한다.


또한 중국·홍콩 주식시장에서는 종목별로 최소 매매 단위가 존재하지만 ‘1Q 샤오미밸류체인액티브’는 최소 매매단위 제한없이 샤오미 및 관련 기업들에 분산·소액 투자가 가능하다.


김 본부장은 “샤오미의 비즈니스가 다양하기 때문에 밸류체인 종목들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1만원 단위로 샤오미 중심의 중국 제조업 피지컬 AI 기업들에 한 번에 투자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샤오미에 대해 “단순히 중국의 애플 혹은 테슬라라고 표현하기에는 샤오미를 온전히 정의할 수 없다”며 “향후 IT 하드웨어와 독자적인 AIoT 통합 생태계를 보유한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되는 만큼 샤오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서진주 기자 (pearl@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