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트럼프, 주한미군 역할, 대중 정책, 관세 등에 의견 달라"
미국 언론들이 한·미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과 조선 협력 등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4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에서 관세와 주한미군 역할, 안보 분담금 인상 등이 논의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WSJ는 "한국은 지난달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조선업을 막판 카드로 제시했다"며 "양안 갈등과 관련해 미 해군력이 더욱 중요해진 만큼 트럼프 행정부에게 한국 조선산업과의 협력은 필수적"이라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 암살 시도에서 살아남았고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만나길 원한다는 공통점이 있다"면서도 두 사람은 대중 정책과 관세, 주한미군 역할에 대해서 다른 생각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은 주한 미군의 역할을 중국 견제로 확대하고 싶어하지만 이 대통령은 이에 반대할 것"이라며 "한국 정부는 미군의 역할이 대중 견제로 확대되면 북한에 대한 견제가 약화되고 중국과 대만 갈등에 한국이 영향 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한국에 3500억 달러(약 485조원) 규모의 투자를 요구하고 미군의 주둔 비용에 대한 분담금 인상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NYT는 "이러한 요구로 한국은 미군 철수도 고려했다"며 "상당수 한국인이 미군 철수와 자체 핵무기 개발을 원하고 있다는 여러 여론조사가 발표됐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