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가는 친환경… LPG 보조금 없앴더니 '노후 경유차' 산다

편은지 기자 (silver@dailian.co.kr)

입력 2025.07.15 06:00  수정 2025.07.15 06:00

LPG 화물차 전환 보조금 제도, 작년 말 완전 폐지

LPG 대신 전기 트럭 유도했지만… 중고 경유트럭 시세 올라

짧은 거리 '전기트럭', 장거리 'LPG 트럭' 지원 필요

기아 봉고 3 ⓒ기아

소상공인의 발이자 생존 기반인 1톤 트럭 시장에서 경유 중고 모델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노후 경유차를 LPG 화물차로 전환하면 보조금을 지원해주던 정부의 친환경 정책이 작년 말로 폐지되면서다.


사실상 전기 트럭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서였지만, 주행거리에 대한 부담이 큰 소상공인들이 중고 경유 모델로 눈을 돌리는 결과를 낳은 것으로 풀이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중고 경유 1톤 트럭의 시세가 오르고 있다. 1톤 경유트럭 중고 모델의 평균 가격은 작년 기준 1054만원에서 올해 1240만원으로 약 200만원 가량 높아졌다.


중고차 가격 상승은 디젤 트럭에 대한 수요가 최근 1년 사이 늘었다는 의미다. 디젤 트럭은 '대기관리권역법'에 따라 지난 2023년 말 생산이 단종됐으며, 대체 모델로 온실가스가 적게 배출되는 LPG 트럭이 출시된 바 있다.


경유 트럭을 찾는 소상공인들이 최근 늘어난 건 정부가 LPG 트럭으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시행하던 보조금 정책이 폐지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난 2019년부터 노후 경유트럭을 LPG 화물차로 전환하면 최대 400만원까지 지원금을 주는 제도를 시행하다 작년 말 완전히 폐지했다.


디젤 모델 단종에 따라 LPG차 전환이 빠른 속도로 이뤄지면서 LPG 트럭에 주던 보조금 예산을 절감하고, 보급 속도가 느린 전기 트럭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1톤 트럭 시장에서 LPG 트럭의 점유율은 84%에 달한 반면 전기 트럭은 1만7228대에 그쳤다.


전기 트럭의 보급이 여전히 더딘 바탕에는 생계 수단이라는 특성이 자리한 것으로 보인다. 상업용 화물차 특성상 일평균 주행거리가 승용차 대비 월등히 길고, 업무 중 충전 시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서다. 구매 보조금이 주어지더라도 1회 충전 주행거리가 200여km 수준에 그치는 전기 1톤트럭을 선뜻 구매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결과적으로 LPG 트럭 전환 보조금 폐지가 중고 경유 트럭의 구매를 부추기면서 업계에서는 정부가 상용차 시장에서의 친환경 정책을 양분화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평균 주행거리가 긴 사업자들이 LPG 차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전환 보조금을 부활시키고, 비교적 주행거리가 짧은 사업자는 전기트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지적이다.


권용주 국민대학교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교수는 "소상공인들은 대한민국 경제의 뿌리다. 생계형차를 친환경으로 전환하는건 단순한 환경 정책아니라 국가경제 지속가능성을 위한 투자"라며 "단기적 예산 절감이 아니라, 장기적인 환경전략, 취약 계층 보호라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LPG 보조금 부활은 환경과 생계라는 두마리 토끼 잡을 수 있는 현실적 해법"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편은지 기자 (silver@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