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 마용성 등 상승폭 일제히 축소
전반적 관망세 확산…금관구 등 외곽은 상승폭 확대
6·27 대출규제 여파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2주째 축소됐다. 집값이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내던 강남3구를 비롯해 인접 지역까지 오름폭이 둔화됐다.
10일 한국부동산원이 7월 1주(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 아파트값은 0.29% 오르며 일주일 전(0.40%)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는 2주 연속 상승폭이 줄었다. 특히 강남은 일주일 전 0.73%에서 금주 0.34%로 상승폭이 반토막났다.
서초는 0.65%에서 0.48%로 송파는 0.75%에서 0.38%로 각각 축소됐다.
마용성(마포·용산·성동)도 상승폭이 모두 줄었다. 마포는 같은 기간 0.85%에서 0.60%, 용산은 0.58%에서 0.37%, 성동은 0.89%에서 0.70%로 줄었다.
서울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률이 둔화흐름을 보였지만, 상대적으로 주택 가격이 저렴한 서울 외곽지역은 상승폭을 키웠다.
강서구는 일주일 전 0.13%에서 금주 0.25%로 올랐고, 구로는 0.11%에서 0.18%, 금천은 0.08%에서 0.09%, 관악은 0.10%에서 0.19%로 상승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신축,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일부 선호 단지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부동산 시장 참여자의 관망 추이가 심화하면서 전반적인 매수문의가 감소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 역시 0.11%로 일주일 전(0.17%) 대비 축소됐다. 경기는 0.04% 상승했고, 인천은 0.03%로 하락세를 유지했다.
지방(-0.03%) 침체는 계속됐다. 5대광역시 아파트값은 0.05% 하락했고, 세종은 일주일 전 0.02%에서 금주 보합으로 전환됐다. 8개도는 0.02% 떨어졌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4% 올랐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역시 일주일 전 대비 상승폭이 축소되며 0.01%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서울은 0.08% 오르며 일주일 전(0.07%) 대비 상승폭이 소폭 확대됐다.수도권(0.05%→0.03%)은 상승폭 축소, 지방(-0.01%→-0.01%)은 하락폭 유지됐다.
5대광역시(-0.01%)와 8개도(-0.02%)는 일주일 전과 동일한 낙폭을 유지했고, 세종은 0.01%에서 금주 -0.01%로 하락 전환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