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담대 6억으로 제한…마포·성동 ‘찬바람’
“분위기 살피는 집주인들…강남 갈아타기 수요 막힐듯”
외곽지역 내 집 마련 수요 증가…대출 규제 나비효과
“거래 문의가 뚝 끊겼습니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재개발, 재건축 매물 있으면 연락달라고 했던 분들이 많았는데 대출이 막히니까 쥐 죽은 듯이 조용합니다. 놀란 집주인들도 전화를 줬는데 당장 호가를 내리지는 못하고 분위기만 살피는 중이네요”(용산구 공인중개사 A씨)
예기치 못한 강력한 대출 규제 시행으로 서울 부동산 시장이 대혼란에 빠졌다.
주택담보대출 최고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갭투자까지 막아놓자 주택 매매에 나서려던 수요가 일순간 얼어붙은 가운데 성동·마포구 등 중고가 지역에 몰렸던 수요가 외곽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가시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일 금융당국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새 정부의 첫 대출 규제 시행으로 과도한 대출로 주택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차단돼 수요자들은 한동안 관망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와 같이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과 투기과열지구 등 부동산 규제로 묶여있는 지역뿐만 아니라 수도권 전역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주담대)가 최대 6억원으로 한도가 묶이게 되면서 마포구와 성동구 등이 타격을 크게 받을 것으로 보인다.
마포구와 성동구는 강남3구와 용산구가 지난 3월 24일 토허제 적용 지역으로 지정됐을 때 풍선효과가 예상됐던 곳들이다.
실제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넷째 주 성동구가 0.99%, 마포구가 0.98%로 역대 최고치의 아파트값 상승률을 보이면서 풍선효과가 가시화된 바 있다.
심형석 우대빵부동산연구소 소장(美 IAU 교수)은 “자금력이 있는 강남권은 대출 규제의 큰 영향이 없고 고소득 직장인들의 수요가 집중되는 마포구와 성동구가 타격이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의 아파트 매매거래 열기가 식고 대출 한도가 제한되면서 강남권으로 갈아타려는 움직임도 끊길 것이란 관측이 크다.
성동구의 공인중개사 B씨는 “마용성에는 강남으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많다”며 “대출 영향이 적은 초고가 아파트들은 상관 없겠지만 마용성 수요가 가라앉으면 강남쪽 거래도 줄고 당분간 상승세도 주춤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물론 그렇다고 마용성 집주인들이 바로 호가를 낮추지는 않는다”면서도 “몇 달 동안 추이를 지켜보다 팔아야 할 사람이 가격을 낮춰서 내놓으면 거래가 체결되고 그렇게 가격대가 하향 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서울 중고가 아파트가 몰려있는 지역에 늘어났던 수요가 점차 외곽 지역으로 확산돼 또 다른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대출 한도 축소로 동원할 수 있는 자금이 줄어들어 외곽 지역으로 눈을 돌리는 수요자들이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
심 소장은 “대출 규제 전에도 마포구와 성동구 아파트값이 빠른 속도로 오르다 보니 인접 지역으로 매수세가 옮겨 붙고 있었다”며 “대출 규제로 인해 이 같은 현상이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12억원에서 15억원 사이 아파트들이 몰려 있는 지역이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며 “노원·도봉·강북구는 가격 상승에 한계가 있을 것 같은데 강서·서대문·관악구 등 도심과 가깝고 자체 일자리를 보유한 지역의 움직임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