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효율성 및 안정성 기준 제시했다는 평
LG전자가 자사의 프리미엄 모듈러 주택 ‘스마트코티지’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과 전기 안전성에서 새로운 산업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29일 회사에 따르면, 최근 LG 스마트코티지는 국내 모듈러 주택 가운데 최초로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최고 등급인 ‘ZEB 플러스(Plus)’를 획득했다.
한국에너지공단이 부여하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은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건축물의 에너지 자립률을 평가해 등급을 매기는 제도다. 스마트코티지는 1등급 기준인 에너지 자립률 100%를 초과해, 생산한 에너지가 소비를 웃도는 수준을 인정받았다.
스마트코티지는 LG전자의 고효율 AI 가전과 HVAC(냉난방공조) 기술이 집약된 차세대 주거 모델이다. 전기를 기반으로 모든 에너지를 사용하는 설계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까지 적용할 수 있어, 자가 발전형 친환경 주택으로 주목받고 있다.
LG전자는 에너지 효율성뿐 아니라 전기 안전성 강화를 위한 제도 마련에도 나섰다. 최근 전북 김제 LG 스마트코티지 현장에서 한국전기안전공사와 ‘모듈러 주택 전기안전 확보’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측은 모듈러 주택의 설계도면 검토와 제조단계 현장검사를 통해, 완공 전 전기설비의 안전성을 인증하는 ‘모듈러 주택 미리 안심 인증제도’를 새롭게 도입할 계획이다.
기존에는 건축물이 완공된 후 전기 안전검사를 진행하다가, 배선이나 콘센트 문제로 일부를 철거·재시공해야 하는 사례가 잦았다. 새 인증제도는 이러한 비효율을 줄이고, 제품 설계 단계부터 문제를 예방해 품질 신뢰성을 높인다는 취지다.
LG전자는 스마트코티지를 시범 대상으로 이 제도를 적용하고, 향후 모듈러 건축 전반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업계는 스마트코티지가 향후 국내 모듈러 주택의 전기설비 안전 기준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모듈러 주택 시장은 국내외 모두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철강협회와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시장은 2030년까지 최대 4조 4천억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도 2029년까지 1,408억 달러(한화 약 194조 원)에 이를 것으로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은 내다봤다.
한편, LG전자는 전북 김제에 위치한 스마트코티지를 누구나 체험해볼 수 있도록 온라인 예약 기반의 ‘오픈하우스’도 운영 중이다.
조연우 LG전자 스마트코티지 대표는 “공간, 가전, 서비스를 융합해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LG 스마트코티지를 통해 건축 산업의 새로운 변화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