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조 맞춰 '소상공인 지원책' 쏟아내는 은행들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입력 2025.06.26 06:49  수정 2025.06.26 08:44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소상공인 상품 확대

중동 분쟁 리스크 대응 방안도 마련

대출 연체율 급등…"은행권, 선제적 조치 필요한 시점"

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이 소상공인을 위한 대출 확대 및 컨설팅 강화 방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연합뉴스

경기 침체 여파로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자금 사정이 빠르게 악화되는 가운데, 주요 시중은행들이 맞춤형 금융지원에 나서고 있다.


현 정부가 소상공인 지원을 핵심 정책 기조로 내세우면서 은행권도 발맞춰 기존 상품을 손질하거나 신규 금융 프로그램, 종합 컨설팅 서비스를 선보이며 대응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은 소상공인을 위한 대출 확대 및 컨설팅 강화 방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국민은행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과 연계한 자영업자 보증 대출 상품인 'KB소상공인 동반상생 시리즈'를 준비해 정책자금 공급 확대에 나선다.


이미 올 상반기 지역신용보증재단에 467억원을 출연한 데 이어 최근 200억원을 추가로 출연해 총 667억원 규모의 소상공인 보증 재원도 조성했다.


하반기에는 지역신용보증재단과 개별 협약을 체결해 보증 비율 우대(90% 이상) 혜택이 적용된 보증서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약 3000억원 규모의 추가 대출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신한은행도 소상공인 지원 프로그램으로 경영 노하우·마케팅 전략 교육 등 다양한 컨설팅 서비스를 확대했다.


하나은행은 최근 중동 분쟁 관련 중소기업·소상공인의 긴급 유동성 지원을 위한 총 11조3000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한다. 중소기업을 위한 2조원 규모의 유동성 신속지원 특별 프로그램이 새로 시행된다.


이와 함께 자영업자·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사회연대은행과 협력해 '하나 파워 온 스토어' 사업을 통해 약 2000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간판 교체, 실내 인테리어 개선 등 최대 200만원 규모의 환경개선 비용을 지원했고, '정책자금 사전진단 서비스'를 통해 소상공인이 모바일로 정책자금 대출 가능 여부와 한도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소상공인 컨설팅 센터인 '하나더소호 라운지'를 운영하고, 영업 노하우 멘토링 플랫폼 '창톡'과의 협업을 통해 상담료 최대 90% 할인 혜택도 제공한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약 6400억원 공급했던 '새희망홀씨2' 대출을 올해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이 상품은 저신용·저소득층을 겨냥한 대표적인 서민금융 지원 프로그램이다.


또 임종룡 회장 주재로 중동 사태에 대비한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한 후 수출 피해기업 등 기업고객에 대한 실질적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농협은행은 전날 전국상인연합회와 소상공인의 위기 극복을 지원하기 위한 '외환부문 상생금융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전통시장과 상점가에 입점한 70만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수출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환율우대를 지원한다. 통관과 대금결제 등 수출입 전반에 필요한 교육·컨설팅도 제공한다.


이처럼 은행권이 소상공인 지원에 적극 나서는 배경은 현 정부의 정책 기조에 보조를 맞추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소상공인 대환대출 ▲이차보전 확대 ▲폐업 시 일시상환 유예 ▲장기 분할상환 프로그램 도입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아직 구체화 단계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은행권이 이를 염두에 둔 선제적 대응 차원이라는 해석이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금융권 차원의 위기관리 대응으로도 분석된다.


실제 자영업자 대출 부실 우려는 수치로도 확인되고 있다. 5대 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올해 5월 말 기준 0.67%로 전월 대비 0.06%포인트(p) 상승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0.19%p 증가한 수치다.


일부 은행에서는 고정이하여신 비율까지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리스크 경고등이 커지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소상공인 부실이 실물경제로 전이될 가능성이 큰 만큼, 정부와 은행권 모두 유기적인 협력과 선제적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향후 정부 정책 방향에 맞춰 지원 범위와 규모를 더욱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