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 자일동 주민들, "소각장 이전 지하화 약속 이행하라 "며 반발..사업차질 우려

오명근 기자 (omk722@dailian.co.kr)

입력 2025.05.21 16:45  수정 2025.05.22 00:32

경기 의정부시가 추진 중인 소각장 자일동 이전사업(자원회수시설 현대화사업)이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가 진행 중이지만 주민들이 시설 지하화 약속을 이행하라며 반발하는 등 소각장 이전사업을 둘러싸고 시와 주민간의 갈등이 커지고 있다.

ⓒ자일동쓰레기 소각장 대책위원회 제공

주민들은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결과 소각장 시설이 지상 및 반지하 방식으로 추진될 경우 사업을 백지화할 것을 요구하며 집단 행동에 나설 예정이어서 소각장 이전사업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자일동쓰레기 소각장 대책위원회(회장 조득현)는 20일 의정부시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소각장 이전이 당초 주민들의 의사를 무시한 채 약속을 어기며 지상 및 반지하 건립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소각장 이전 백지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대책위는 “김동근 시장이 2023년 7월 시민공론장을 통해 15개 동 지역주민 57명의 의견을 수렴해 소각 시설을 완전히 지하화하고 굴뚝 높이를 최대화하는 방식으로 자일동 환경자원센터에 쓰레기소각장을 건립하기로 해놓고 적정성 검토와 사업비 증가를 이유로 사업계획을 변경하려 한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가 지난 4월 15일 열린 주민설명회에서 소각시설을 지하에 건설할 경우 암반을 깨고 파내려 가는데 막대한 비용이 드는 문제점을 거론하면서 대안으로 소각시설을 반지하화하고 지상에 크레인을 설치할 수 있다고 설명한데 대해 대책위는 강한 의문을 제기했다.


시가 자일동 환경자원센터 지하 지질이 암반으로 이뤄져 공사가 어렵다는 입장이지만 애초부터 암반 지질구조를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또한 사업의 투명한 행정을 위해서는 현재 진행중인 소각장 이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과 적정성 검토 보고서를 공개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진행중인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내용 가운데 지하화, 반지하화(주요시설 지하화), 지상화 등 3가지 방안(공법)을 시가 공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공사 공법에 대해서는 검토가 진행 중으로 적정성 검토 결과는 오는 9월쯤 나올 예정이다.


시가 KDI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단계에서 소각시설 지하화 배치계획에 대한 협의를 진행 중이라는 입장이지만 주민들은 3가지 방안을 KDI에 제출한 상태에서 중앙 부처와 협의하는 데 대해 강한 불신감을 나타내고 있다.


김욱상 대책위 운영위원장은 “시가 지난 2022년 합의한 자일동 소각장시설 지하 건립 약속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사업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는 반대 집회를 개최하고 국민고충처리위원회에 민원도 제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소각장 이전 사업은 생활쓰레기 처리량이 급증하면서 민선 7기인 지난 2017년 민자사업으로 추진되다가 민선 8기 들어 재정사업으로 전환해 추진됐다. 당시 주민들은 편익시설 지원과 함께 소각 시설을 완전 지하화하고 굴뚝 높이를 최대화하는 조건으로 사업에 동의했다.

이에 대해 의정부시는 21일 시청 기자실에서 자원회수시설 현대화사업 관련 기자간담회를 갖고 “소각장 자일동 이전은 주민과의 약속대로 지하화로 추진하고 주민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각종 편익시설도 이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의정부시 관계자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통해 시설 규모 및 사업비가 확정되면 지방재정 사업 투자심사 등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이행해 소각장 자일동 이전 사업을 오는 2027년 착공, 2030년 준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오명근 기자 (omk72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