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기준 매각 추진 PF사업장 124개…전월 대비 3개↑
당국 압박에 부실 매각 속도…NPL 자회사·펀드 조성도
업권 노력에도…부동산 침체 여파로 매각은 지지부진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정리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상반기를 '데드라인'으로 잡고 압박에 나서면서 저축은행들도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지만, 부동산 침체 여파로 부실PF 정리는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8일 금융투자협회 정보공개 플랫폼에 따르면 금융권에서 매각을 추진 중인 부동산 PF 사업장은 올해 4월 31일 기준 396개(금융권 익스포져 6조5000억원)이다. 전월(384개 사업장, 익스포저 6조7000억원) 대비 12개 사업장이 증가했다.
대리금융기관으로 등재된 업권은 저축은행이 124개로 전체 사업장의 31.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새마을금고 104개, 증권사 64개, 농협 39개 등이 뒤를 이었다.
대리금융기관은 PF 사업장의 대주단을 대표하는 기관으로 통상 가장 많은 금액을 대출해 준 기관이 맡는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난달 기준 저축은행이 대리금융기관으로 지정된 사업장(124개) 수도권은 64개, 지방은 60개로 나타났다. 감정평가액은 약 3조9205억원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부실 사업장 규모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경공매 대상 PF 사업장 현황을 최초 공개한 1월에는 사업장이 195개였지만, 2월 369개, 3월 385개로 늘더니 어느덧 400개를 바라보고 있다.
이같은 상황이 지속되자 금융당국은 최근 저축은행에 부동산 PF 부실 자산을 올 상반기 내에 정리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이행되지 않을 경우 해당 기관과 임직원에 대한 제재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압박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에 저축은행들도 적극적인 경·공매를 통해 부실 PF 줄이기에 나섰다. 중앙회 차원에서도 부실채권(NPL) 전문회사 설립, 부동산PF 공동펀드 조성 등 다방면에서 노력하고 있지만, 부실 정리는 좀처럼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
매각 의사를 밝힌 PF 사업장 수는 늘고 있지만, 부동산 침체 여파로 투자자들이 관망세를 유지하면서 실제 거래로 좀처럼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현장에서는 당국의 지침을 두고 회의적인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이어지면서 매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상반기 내 부실 PF 자산을 정리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각 저축은행은 매각·상각을 통해 부실자산 정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지금처럼 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선 매각이 쉽지 않다"며 "저축은행들이 PF 정리를 버티고 있는 게 아니라 매수자들이 소극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핵심은 매수자들이 부동산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없다는 점이다. 부동산 시장에 대한 기대가 없어 매매 자체가 어려운 것"이라며 "감독당국이 제 역할을 다하고 있다는 점은 잘 알고 있지만, 상반기 내 부실 자산 정리는 현실적으로 어렵게 느껴진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