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 매매거래량, 2년 전 대비 ‘반토막’
고금리·전세사기 여파, 월세수요↑…임대수익률 ‘최고’ 수준
1·10대책, 신축 오피스텔 주택수 제외 등 포함
“신축 오피스텔로 수요 집중…구축 불확실성 여전”
오피스텔 매매시장 양극화가 가시화되고 있다. 고금리와 전세사기 등 여파로 비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지면서 매매거래가 크게 줄어든 가운데 월셋값 상승, 1·10대책에 따른 세제 혜택 등이 작용하면서 신축 오피스텔로 수요자들의 관심이 몰리는 모양새다.
16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에서 집계된 오피스텔 매매는 2만6696건으로 1년 전(4만3558건)보다 38% 줄었다. 2년 전(6만3010건)과 비교하면 거래량은 반토막났다.
그간 오피스텔은 주거가 가능하고 소액 투자 및 임대수익을 얻을 수 있어 집값 급등기에 실수요자를 물론 투자수요자들의 자산상품으로 꼽혔다. 하지만 고금리와 전세사기 등 시장 불안이 계속되면서 수요가 크게 위축됐다.
수요가 한풀 꺾이면서 공급량도 감소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서 분양 예정인 오피스텔은 7500여실에 그친다. 지난해 분양 실적이 1만6344실인 것을 고려하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매매거래과 공급물량이 동반 감소했지만, 임대수익은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집계를 보면 지난해 12월 기준 오피스텔 수익률은 5.03%다. 한 달 전보다 0.02%포인트 올랐다. 2020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고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대전이 가장 높은 7.30%를 나타냈고, 광주가 6.55%, 부산 5.72% 등으로 집계됐다. 서울은 4.44%다.
같은 기간 전국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는 2020년 6월을 기준(200)으로 103.07을 기록했다. 지난해 6월부터 7개월 연속 상승세다. 고금리 기조 속 아파트 전셋값 상승, 비아파트 전세 기피로 오피스텔 월세 수요가 늘어나서다.
1인 가구 비중이 늘어나는 것도 한몫한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주민등록인구가구는 2391만4851명이다. 이 중 1인 가구는 993만5600가구로 전체의 41.5%를 차지했다.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지역을 살펴보면 전남이 47.1%로 가장 높았고, 경북(45.6%), 강원(45.2%), 전북(44.9%), 충북(44.7%)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은 전체 446만9417가구 중 198만8235가구가 1인 가구로 집계됐다. 전체 가구 중 44.5% 수준이다.
업계에선 오피스텔 매매거래는 줄었지만 전세 기피로 월세 수요가 늘어난 만큼 앞으로 공급되는 신축 오피스텔에는 투자수요의 발길이 몰릴 것으로 내다본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1·10대책에는 올해 1월부터 내년 12월까지 2년간 공급되는 소형 신축 오피스텔(전용 60㎡ 이하, 수도권 6억원, 지방 3억원 이하)을 최초 구입할 경우 세제 산정 시 주택수에서 제외되는 방안이 포함됐다. 공급물량이 줄면서 신축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반면 기존 공급된 구축 오피스텔 시장은 녹록지 않다. 여전히 임차인을 들이기도, 매수자를 찾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오피스텔 수요자들은 정부의 추가 규제 완화를 촉구하고 있지만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현재로선 검토 중인 내용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박 장관은 “비아파트에 대한 규제는 너무 시장을 건드리는 것이 아니냐는 걱정이 있어서 신축을 중심으로 어렵게 이뤄졌다”며 “신축 비아파트 규제 완화는 공급 촉진을 위한 명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구축의 경우 시장 상황에 따라 필요한 아이템이 있다면 만들겠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전셋값에 부담을 느끼고 오피스텔 시장에 남아있는 임차 수요가 많은 데다,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며 “오피스텔에 대한 세제 혜택이 신규 공급되는 물량에 대해 제한적으로 적용되는데 공급물량도 크게 줄어 기존 오피스텔보다 신축을 중심으로 투자수요의 관심이 더 집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