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표원, 교환형 배터리 팩 KS표준 4종 제정 고시
앞으로 전기이륜차의 배터리 제조사별 구분없이 배터리 팩 교환 주행이 가능해진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6일 전기이륜차용교환형 배터리 팩 관련 한국산업표준 KS R 6100-1 등 4종의 KS표준을 신규 제정 고시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전기이륜차 제조사들은 교체식 배터리를 제각각 개발·활용해 배터리 크기, 전압, 커넥터, 통신방식 등이 달라 상호호환성이 없었다.
이에 국표원은 지난 2020년부터 전기이륜차 교환형 배터리 팩의 상호호환성 확보가 가능한 국가표준(KS) 개발을 위해 관련 업계·기관 전문가 간담회와 공청회 등의 과정을 거쳐 의견을 수렴하고 이날 고시하게 됐다.
이번에 제정된 표준은 '전기이륜차용 공용 교환형 배터리 팩'의 1부 일반 요구 사항(전압, 크기, 무게, 용량), 2부 충방전용 커넥터, 3부 통신 프로토콜, 4부 안전성 및 내구성 시험방법 등 4종으로 구성됐다.
1부에서 배터리 전압은 48V, 72V로, 크기는 170㎜×135㎜×310㎜, 무게는 12㎏, 용량은 1.2㎾h(통상 40~50㎞ 주행가능)로 표준화했다.
2부에서는 충방전용 커넥터의 형상과 제원, 3부에서는 전기이륜차와 충전스테이션 간 통신 프로토콜을 CAN 통신 방식으로 규정했다.
4부에서는 배터리 팩의 성능, 안전성과 내구성 시험방법을 명시했다.
업계는 표준을 통해 국내 전기이륜차 개발제품의 배터리 팩에 대한 호환성 확보와 함께 관련 시장의 확대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현재 정부와 국내 이륜차 업계는 시장 확대와 제품경쟁력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상훈 국표원 원장은 "전기이륜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배터리 표준화가 전기이륜차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각 되고 있다"며 "이번에 제정되는 KS표준 기반으로 교환형 배터리 팩 관련 표준을 국제표준으로 제안해 전기이륜차 글로벌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하겠다"라고 밝혔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