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관구·노도강까지 얼어붙어
거래금액도 규제기간 축소
수도권 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상한선을 6억원으로 제한한 지 1주일 만에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64%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구)발(發) 서울 집값 상승이 일부 진정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7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대출규제 발표 다음날인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1주일간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는 총 577건이 거래돼 직전 일주일(6월 20일∼26일)의 1천629건보다 1052건(64.6%) 줄었다.
실거래 신고가 완료되려면 약 한 달이 남았지만 대책 발표 전 '불장'이던 강남3구와 마용성을 보면 변화가 느껴진다.
비교 기간 강남3구 거래량은 송파(24건→1건) 95.8%, 서초(15건→1건) 93.3%, 강남(76건→24건) 68.4%씩 줄었다.
마포는 66.3%(86건→29건), 용산은 21.4%(14건→11건), 성동은 53.8%(93건→43건) 각각 감소했다.
이번 규제로 ‘풍선효과’ 발생이 우려됐던 노도강, 금관구(금천·관악·도봉) 등 외곽 지역도 거래가 얼어붙었다.
노원(143건→60건)은 58.0%, 도봉(48건→25건)은 47.9%, 강북(21건→15건)은 28.6% 각각 줄었다. 금천은 73.1%(26건→7건), 관악은 62.7%(59건→22건), 구로는 65.8%(79건→27건) 축소됐다.
대출 규제 발표 후 일주일간 서울 거래량은 25개 자치구에서 모두 감소했다.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3일까지 서울에서 계약이 해제된 225건 가운데 대출규제 발표 이후 아파트 매매계약 취소는 125건(55.5%)으로 집계됐다. 대출 규제 발표일을 해제 사유 발생일로 밝힌 거래가 39건으로 나타났다.
거래금액도 규제 이후 크게 줄었다.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서울 25개 자치구 거래액은 6319억원으로 일주일 전 대비 67.3% 감소했다. 강남구는 규제 전 대비 71.3%(637억원)가 줄어들며 가장 많이 거래금액이 축소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