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대통령 주관 국정설명회서 철도 인프라 정부 지원 건의

유진상 기자 (yjs@dailian.co.kr)

입력 2025.11.12 17:21  수정 2025.11.12 17:21

"경기남부광역철도 등 반도체 경쟁력 위한 교통망 확충 절실"

용인특례시가 정부에 지원을 요청한 철도 사업. ⓒ용인시 제공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1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전국 시장·군수·구청장 국정설명회에 참석하여, 용인 발전과 지역 반도체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철도사업 지원을 요청했다.


이날 국정설명회에는 이재명 대통령, 김민석 총리,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 주요 인사들과 전국 자치단체장이 참석했다.


이 시장은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 동백~신봉선 신설, 용인선 연장, 경강선 연장, 중부권광역급행철도 조기 착공, 경기남부동서횡단선 신설 등 주요 철도 프로젝트를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대통령실 및 정부에 건의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 시장은 "용인 철도사업은 시민 교통편의 증진은 물론 세계적 반도체산업 발전에 꼭 필요한 사업으로,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상일 시장은 사전 제출 자료에서 경기남부광역철도, 동백~신봉선 신설, 용인선·경강선 연장, 중부권광역급행철도(JTX·서울 잠실~용인~청주공항) 조기 착공, 평택~용인~부발선 예비타당성 조사 재추진 등 4건을 중점 요청했다.


경기남부광역철도는 서울·성남·용인·수원·화성을 잇는 50.7km 노선으로, 용역 결과 비용 대비 편익(B/C) 값이 1.2로 경제성도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수원·성남·화성 4개 도시가 공동 추진 중이며, 이재명 시장은 국토교통부와도 수차례 사업 필요성을 직접 설명해왔다.


동백~신봉선 노선(14.7km)은 신봉동에서 경기남부광역철도와 연계돼 성복역, 구성역, 동백역 등 주요 환승지 연결이 가능하다. 용인선 연장(6.8km)은 기흥역에서 흥덕, 광교중앙역 등을 연결한다.


경강선 연장은 광주시에서 용인 처인구 주요 지점을 거쳐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및 반도체특화 신도시를 연결하는 사업으로, 수도권내륙선 일부 구간을 포함한 중부권광역급행철도와 연계가 가능하다. 국토부는 해당 사업 민간투자 타당성을 조사 중이다.


이 시장은 "시가 추진하는 철도사업이 실현되면 용인 3개 구가 철도로 직결되고, 시민들은 경기남부광역철도·중부권광역급행철도 등을 통해 서울, 성남, 수원, 화성 등 수도권과 광주, 안성, 충북 진천·청주까지 편리하게 왕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동백~신봉선, 용인선 연장은 GTX-A, 신분당선, 분당선, 동탄~인덕원선 등과 연계돼 시민 교통편의 증진과 교통체증 해소, GTX 활성화 효과도 기대된다.

경강선 연장은 첨단 반도체 클러스터와 신규 국가산단 등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도 필수적이라고 이 시장은 강조했다.


경기남부동서횡단선(89.4km)은 이천 부발에서 용인 처인구 원삼면과 이동·남사읍 반도체클러스터~화성 전곡항까지 이어지고, 평택~부발선 일부 구간과 노선을 공유한다. 시는 평택~부발선 예비타당성 재추진을 촉구하며, 반도체 산업 인재들의 교통편의 및 산업벨트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략적 연계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 시장은 특히 삼성전자(360조원)와 SK하이닉스(122조원)의 대규모 투자가 이뤄지는 용인 지역이 세계 최대 반도체 생태계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며, 향후 인구 150만의 미래 중추도시로 발전하려면 철도 인프라 확대가 필수임을 정부에 피력했다.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 시 110만 용인시민을 포함한 인근 도시 시민의 교통편의가 대폭 개선되고, 5만5000 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플랫폼시티 입주기업과 근로자, 시민 등에도 큰 도움이 되는 광역교통대책임을 역설했다.


이 시장은 "중앙정부가 반도체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와 지역의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해 용인 등 남부권 철도 인프라 확충사업이 속도를 내도록 적극 지원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끝으로 "용인의 철도망 확충은 시민 교통복지뿐 아니라 경기 남부, 수도권, 충청권 등 국가 미래 산업벨트와 직결된 핵심 사업"이라며 정부 차원의 조속한 추진과 예산 지원을 요청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유진상 기자 (yj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