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지방정부 최초로 행정 전반에 자체 구축한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도입한다.
국내기업에서 만든 인공지능 5개 모델에 경기도행정정보를 학습시켜 만든 것으로 경기도가 자체적으로 통제하고 운영할 수 있는 독립적 AI 시스템이다. 이에 따라 정보유출,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없는 지방정부 최초의 소버린 AI라고 도는 평가한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 생성형 AI플랫폼’이 4일 행정업무 6개 분야에서 공식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시작했다고 밝혔다.
경기 생성형 AI플랫폼은 AI가 행정 문서를 작성·검색·요약하고 회의록을 자동 정리하며, 법규·심판 사례를 분석해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이다. 공무원의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자동화하면서 좀 더 창의적인 도정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 행정 실현도 가능해졌다.
경기 생성형 AI플랫폼 서비스 시작을 맞아 도는 이날 도청사 단원홀에서 공공영역 내 소버린 AI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토론회 ‘소버린 AI 방향을 묻다’를 열었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토론회에 앞서 ‘경기 생성형 AI플랫폼’이 가지고 있는 △AI업무지원관 △AI문서작성 △AI행정자료 검색 △AI회의관리 △행정심판업무지원 △자치법규입안지원 기능 등 주요 기능을 소개했다.
이어진 토론에는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와 KT 배순민 랩장을 비롯한 퓨리오사AI 정영범 본부장, 업스테이지 권순일 부사장, 오케스트로 정재헌 본부장, 등 AI 유니콘 기업(기업가치가 1조 원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이 패널로 참여해 AI 인프라, 소버린 AI 모델, AI 기반 데이터 관리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나눴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생성형 AI 기반 전환을 위해 혁신행정 추진단을 만들어 직접 단장을 맡아온 결과, 경기도가 첫 사례가 됐다”며 “향후 더 안정적이고 신뢰도 높은 서비스로 공무원이 창의적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