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부처 실장급 인사 포함
기업·민간 전문가 대거 참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일 서울에서 열린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과학기술인재 유출 방지 및 유치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민관합동 TF를 출범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
민관합동 TF는 글로벌 인재 확보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 민간 협업 체계다. 젊은 과학기술 인재들이 국내에서 성장·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국가전략 및 현장 수요에 기반한 해외 우수 인재를 국내로 유치하는 방안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TF 위원장은 구혁재 제1차관과 경계현 삼성전자 고문이 공동 수행한다. 위원들은 기획재정부, 교육부 등 9개 부처 실장급 인사와 과학기술자문회의 및 산하 미래인재특별위원회 위원을 비롯해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한다.
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 TF 출범에 앞서 7월 초부터 관계 부처 국장급 실무 TF를 운영 중이다. 그동안 관계 부처와 함께 출연연구기관, 기업, 대학, 외국인 정주 여건 등 5차례에 걸쳐 이슈별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공계 진로 기피, 국내 양성 인재의 해외 이탈, 이공계 재직자들의 사기 저하 등 과학기술 인재 생태계 전반에 걸친 문제의 근본 원인을 재진단한다. 범정부 대책의 구성 방향, 실무 TF를 통해 발굴된 후보 과제 등을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민관합동 TF를 통해 수요자 관점에서 인재 유입-성장-취업-정착 등 전 주기에 걸친 추진 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다. 각 부처 제도와 재정적 지원을 연계하는 실행 방안을 9월까지 구체화한다는 목표다.
구혁채 제1차관은 “지금도 해외의 대학, 기업, 연구소로부터 제안을 받아 이직을 고민하는 분들이 있을 것”이라며 “오늘 회의가 이공계를 진로로 선택한 국내외 인재들에게 대한민국에도 미래가 있다는 확신을 줄 수 있는 출발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