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中·러·이란, 미국인 표적 사이버 범죄 저질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통화한 후 “휴전 논의는 진전이 없었다”고 불평하며 러시아를 사이버 안보 위협국에 추가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대통령 전용기에 탑승하기 위해 찾은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서 기자들에게 “약 한 시간 동안 (푸틴 대통령과)통화했지만 진전이 없었다. 솔직히 말해 기쁘지 않다”고 말했다.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휴전을 촉구했으나 푸틴 대통령은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해야 휴전 협상에 나설 것”이라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크렘린궁 측은 의미있는 통화였다고 밝혔다. 우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정책 보좌관은 “두 정상은 항상 그렇듯 실용적인 대화를 나눴고 푸틴 대통령은 미국의 독림기념일(7월 4일)을 축하했다”고 말했다. 앞서 두 사람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무기 공급 중단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지만 두 정상은 이를 하지 않았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이버 안보 강화에 관련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여기엔 중국과 러시아, 이란, 북한 등을 ‘미국 사이버 안보에 위협이 되는 국가’로 지정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행정명령에 따르면 이들 4개국은 민간·정부 차원에서 미국의 사이버 안보를 위협하고 미국인을 표적으로 하는 범죄를 저질렀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무부와 국토안보부 등에 “이들 국가를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사이버 안보를 강화할 구체적인 계획을 만들어라”고 지시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