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트럼프 압박에 디지털세 철회
美재무장관 "다음주 협상 부산해질 것"
시장, 무역협상 낙관론에 기대
간밤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최고치를 또 한 번 경신했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 유예기간 종료를 앞두고 고조된 무역협상 타결 낙관론 때문으로 분석된다.
30일(현지시각)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5.50포인트(0.63%) 오른 4만4094.7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31.88포인트(0.52%) 오른 6204.9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96.27포인트(0.47%) 오른 2만369.73에 각각 마감했다.
S&P 500 및 나스닥 지수는 직전 거래일인 지난 27일 종전 최고점을 돌파한 데 이어 이날 상승으로 최고치 기록을 다시 세웠다.
캐나다가 미국 테크기업을 겨냥한 이른바 '디지털세' 부과 방안을 전날 철회하면서 미국과 캐나다 간 무역협상 타결 가능성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디지털세 부과 방안에 강한 불쾌감을 표한 지 이틀 만에 캐나다 측이 사실상 호응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7일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디지털세 부과는) 노골적 공격"이라며 "캐나다와 모든 무역 대화를 즉각적으로 종료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 도입한 상호관세 정책의 90일 시행 유예가 오는 8일 만료되는 상황에서 시장은 무역협상의 추가 타결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상황이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늘 그렇듯이 마지막 주에 다가가면 압박이 커지면서 (협상이) 부산해질 것"이라며 일부 진전 가능성을 시사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했다가 4월 9일부터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한 바 있다. 이후 미국 정부는 주요 교역국과 무역협상을 진행해 왔다.
이에 따라 유예 시한인 7월 8일까지 협상을 타결하지 못하는 국가에는 7월 9일부터 상호관세를 다시 부과할 전망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