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총 37억 9500만 원 투입…드론 생태계 구축 박차”
인천시는 드론 기술을 활용한 입체적 도시관리 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올해 총 37억 9500만 원을 투입, 드론 기업 지원을 포함한 지역 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행정서비스의 혁신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사업은 국토부 드론 실증도시 구축, 인천형 드론 실증도시 구축, 드론 시험평가 지원, 스마트 드론 해양환경 관리시스템 등 핵심 분야로 나눠 추진된다.
특히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드론 실증도시 사업에는 지난 2022년부터 4년 연속으로 선정됐으며, ‘K-드론 배송 상용화 사업’과 ‘첨단 드론 행정서비스’가 주요 내용으로 포함돼 있다.
K-드론 배송 상용화 사업은 섬 지역에 드론을 통한 물품 배송, 해양쓰레기 수거, 섬 순찰 등이 포함돼 있다.
시는 또 자체적으로 ‘인천형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을 추진하며 환경과 안전 분야의 공공서비스 혁신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환경 분야는 승기천 하천관리, 사월마을 대기질 측정, 인천환경공단 청라사업소 인근 악취 측정 등이 추진되고 있다.
안전 분야는 교량 정밀 점검, 인천2호선 27개 역사 청소, 교량 자살 예방 서비스 등 총 7건의 실증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외에도, 세계적 이벤트인 F1 그랑프리 유치지원 사업도 진행 중이다.
드론 기술 개발과 인천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바우처 지원사업도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은 드론 기업을 대상으로 마케팅, 지식재산권, 시험·인증, 시제품 제작 및 국산화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해양환경 개선을 위한 드론 활용 시스템 구축 사업도 주목을 받고 있다.
위성, 드론, 소나를 활용해 해양쓰레기 분포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인공지능(AI)을 통한 분석 및 예측으로 덕적도, 자월도 등 옹진군 수거선 운영 범위 내 수거 경로를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시는 오는 2026년부터 스마트 해양빌리지 사업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서비스를 도서 지역에 적용해 쓰레기 처리, 환경, 안전 문제 등 도서 지역의 고질적인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다.
시는 이러한 드론 생태계 구축을 위한 사업 시행을 통해 지역사회 현안을 해결하는 동시에 첨단 기술을 활용한 행정 혁신의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드론은 단순한 장비를 넘어 도시 전반을 연결하고 관리하는 새로운 도구로서, 인천시의 미래 발전을 이끄는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드론 기술을 활용한 다각적 사업 추진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선제적 대응은 물론,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