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탐욕의 구글③] “독주 막아라”…‘토종’ 앱마켓 대안 될까


입력 2020.10.21 07:00 수정 2020.10.20 18:22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원스토어 수수료 반값·갤럭시스토어 ‘삼성폰 선탑재’ 무기

“이용자, 구글 정책 관심 없어…이해시키고 전환 유도해야”

삼성 갤럭시스토어(위쪽)와 원스토어 로고.ⓒ원스토어 삼성 갤럭시스토어(위쪽)와 원스토어 로고.ⓒ원스토어

스마트폰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한 구글이 자사 애플리케이션(앱) 마켓에 들어와 있는 모든 앱에 결제 수수료 30%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하면서 파장이 거세다. 마땅한 경쟁자가 없는 상황에서 독과점 지위를 남용해 앱 생태계는 물론 모바일 콘텐츠 시장 전체가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다. 서비스 비용이 증가하면서 이용자 피해도 예상된다. 중소 개발사와 ‘상생’을 강조하며 개방형 플랫폼을 표방하던 구글이 이러한 정책을 결정한 배경과 문제점, 대안을 차례로 짚어본다.(편집자주)


구글이 인앱결제 정책을 강행하면서 ‘원스토어’와 ‘갤럭시스토어’ 등 토종 앱 마켓을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서비스가 독점이 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여실히 보여준 사태라는 평가다.


구글은 지난달 29일 한국 취재진과 온라인 간담회를 열어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반드시 구글플레이를 통해서만 콘텐츠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애플 iOS와 달리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기반 스마트폰에서는 원스토어나 갤럭시스토어 같은 토종 앱 마켓을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앱 장터나 웹에서 결제하는 행위 또한 막지 않겠다고 했다. 즉 구글 인앱결제와 수수료 30%를 받아들일 수 없다면 갤럭시스토어 등을 쓰라는 주장이다.


퍼니마 코치카 구글플레이 글로벌 게임·앱 비즈니스 개발 총괄은 “(정책 변경은)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위한 것”이라며 “우리 플랫폼은 앱·콘텐츠 사업자가 190개국 20억명의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글의 이같은 도발(?)에 토종 앱 마켓 원스토어는 서비스 점유율 확대를 위한 파격적인 정책을 발표했다. 원스토어는 구글 발표 후 내년 연말까지 월 거래액 500만원 이하 사업자에 대해 50%의 수수료를 감면한다고 밝혔다.


원스토어의 이번 정책은 입점해 있는 모든 콘텐츠를 대상으로 한다. 감면은 즉시 시행되며 이달 거래가 발생한 콘텐츠들에 대해서도 소급해 혜택을 적용할 예정이다.


이재환 원스토어 대표가 지난해 11월 6일 서울 중구 SK텔레콤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100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 소식과 함께 모바일 앱 생태계 내 경쟁 구도 형성을 위한 공격적인 성장 가속화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원스토어 이재환 원스토어 대표가 지난해 11월 6일 서울 중구 SK텔레콤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100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 소식과 함께 모바일 앱 생태계 내 경쟁 구도 형성을 위한 공격적인 성장 가속화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원스토어

정책 시행에 따라 즉시 수수료 감면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업과 개발자는 현재 기준 1만6000여개에 달한다. 국내에서 모바일 게임과 앱 개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의 상당수가 포함된다.


원스토어 관계자는 “향후 입점 확대에 따라 대상 기업의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번 발표는 최근 글로벌 앱 마켓들의 인앱 결제 강제가 전 세계적인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 더욱 주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스마트폰 점유율 1위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선탑재돼 있는 삼성 갤럭시스토어는 원스토어와 비교했을 때 전 세계 이용자 확보에서 유리한 측면이 있다.


문제는 이미 구글의 앱 마켓 시장 지배력이 원스토어와 갤럭시스토어에 비해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점이다. 앱 마켓 별로 서비스 이용 요금에 차이가 있어 이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앱을 다운받는 플랫폼을 바꾸지 않는 이상 이러한 구조는 쉽게 바뀌기 힘들 것이라는 지적이다.


노창희 미디어미래연구소 실장은 “구글 수수료 강제 정책의 대안으로 토종 앱 마켓 육성이 거론되고 있고, 이 방식이 가장 바람직해 보인다”며 “하지만 이용자들이 이러한 상황을 이해하기 힘든 면이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구글 수수료 30% 부과 정책 이후 음악 서비스·웹툰 등 콘텐츠 비용이 증가하면, 전후 사정을 모르는 이용자들은 앱 마켓이 아닌 콘텐츠 제공 사업자에게 비난의 화살을 돌리기 쉽다는 설명이다.


노 실장은 “결국 구글 수수료 인상에 따른 서비스 요금 인상 책임은 콘텐츠 사업자가 아닌 구글에 물어야 하는 것으로, 법에 따른 제재가 어려운 만큼 이용자들이 적극적으로 플랫폼을 바꾸도록 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은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