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 건설 지연…월성 2~3호기 ‘셧다운’ 위기


입력 2019.11.26 06:00 수정 2019.11.25 17:30        조재학 기자

월성월전, 임시저장시설 2021년 10월 포화 전망

맥스터 건설 최소 1년7개월 소요…내년 상반기 착공해야

지역자원시설세 감소 우려…“원안위 하루 속히 인허가 내야”

월성월전, 임시저장시설 2021년 10월 포화 전망
맥스터 건설 최소 1년7개월 소요…내년 상반기 착공해야
지역자원시설세 감소 우려…“원안위 하루 속히 인허가 내야”


월성원자력본부 전경.ⓒ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 전경.ⓒ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 포화가 임박해진 가운데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맥스터 추가 건설 결정을 보류함에 따라 월성 2~4호기가 가동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6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월성원전 내 건식저장시설 저장률은 올해 9월 기준으로 96.5%에 달하며, 2021년 11월이면 포화될 전망이다. 임시저장시설이 포화되면 원전은 가동을 멈출 수밖에 없다. 맥스터 건설에 최소 1년7개월 이상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늦어도 내년 상반기에는 착공에 들어가야만 월성 2~4호기 운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앞서 원안위는 지난 22일 제111회 회의에서 맥스터 추가 건설에 대해 위원들이 요청한 자료 등을 검토해 추후 재상정하기로 결정했다. 일부 위원들이 이날 처음 안건으로 상정된 만큼 용어 통일이나 추가 자료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원안위가 맥스터 추가 건설 허가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월성원전 부지에는 이미 건식저장시설인 캐니스터 300기와 맥스터 7기가 자리하고 있다.

흰색 원통 모양인 캐니스터(높이 6.5m, 직경 3m)는 1992년 4월부터 사용후핵연료 저장을 시작해 2010년 4월에 포화됐으며, 사용후핵연료 16만2000다발을 저장하고 있다. 회색 콘크리트 외벽으로 둘러싼 맥스터는 2010년 4월부터 운영 중이다.

한수원은 임시저장시설 포화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운용 중인 맥스터 옆에 추가로 7기를 건설할 부지를 마련한 상태다. 사용후핵연료 16만8000다발을 저장할 수 있는 규모다.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맥스터 전경.ⓒ한국수력원자력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맥스터 전경.ⓒ한국수력원자력

맥스터 건설 지연을 두고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관측도 나온다. 정부는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를 꾸려 월성 맥스터 건설을 포함한 사용후핵연료 정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지만,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문제는 원안위의 건설 허가 심의 결과와 재검토위원회의 정책권고안 마련이 늦어지면 전력수급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월성 2~4호기는 우리나라 전체 전력생산의 2%가량(대구‧경북 25%)을 책임지고 있어 전력수급 차질이 우려된다.

아울러 가동을 멈춘 월성 1호기가 영구정지 수순을 밟고 있는 상황에서 월성 2~4호기도 가동이 정지되면 월성원전 소재 지역의 세수 감소도 문제로 지적된다.

지역자원시설세는 원전과 같은 기피시설에 대한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사업자가 지자체에 납부한다. 원전은 발전량 킬로와트시(kWh)당 1원이 부과된다. 지역자원시설세는 발전량에 따라 책정되기 때문에 원전가동률이 떨어지면 세수도 감소한다.

실제로 원전이용률이 줄어들면서 월성원전이 지자체에 납부한 지역자원시설세는 2016년 317억원, 2017년 309억원에서 지난해 281억원으로 곤두박질쳤다. 월성 1호기의 경우 2017년 계획예방정비 후 지난해 6월 한수원 이사회가 조기 폐쇄를 결정하면서 멈춰있는 상황이다.

이에 월성원전 소재 지역주민들은 맥스터 건설 허가를 원안위에 촉구하고 있다.

최학렬 감포읍주민자치위원장은 “맥스터 추가 건립은 지역의 최대 관심 사항이 됐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정책이 너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며 “시기를 놓쳐 발전소 가동이 중단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 주민들의 몫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건식저장시설은 1992년부터 28년간 운영해오고 있어 안전성 측면에서는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며 “원안위는 한수원이 신청한 맥스터 추가 건설 인허가에 대한 답을 하루 속히 내놓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재학 기자 (2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조재학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