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신남방·북방 전략 구체화…관건은 ‘현지화’


입력 2019.09.12 10:47 수정 2019.09.12 12:04        배군득 기자

베트남 등 한류콘텐츠 강화…웹툰, 화장품 등 지원 강화

유라시아는 합작투자·ODA사업 등 네트워크 구축

베트남 등 한류콘텐츠 강화…웹툰, 화장품 등 지원 강화
유라시아는 합작투자·ODA사업 등 네트워크 구축

ⓒ데일리안DB ⓒ데일리안DB

정부가 신남방·북방 정책을 구체화 한다. 각 지역별 특화 콘텐츠를 내세워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구상이다. 베트남 등 인도차이나반도와 러시아 등 유라시아대륙 상황을 파악해 맞춤형 전략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지역은 선진국들의 치열한 시장경쟁이 전개되는 곳이다. 우리 정부와 기업들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현지화’가 반드시 필요한 지역이다.

정부가 지난 11일 내놓은 ‘수출시장구조 혁신방안’에 따르면 우리나라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해 1순위로 꼽은 지역이 인도차이나반도 국가를 겨냥한 신남방 정책이다.

이 지역은 최근 한류 열풍이 거세다. 베트남 국가대표 축구팀을 이끄는 박항서 감독을 비롯해 한국 문화 콘텐츠에 관심이 높다. 정부도 이같은 수요가 있다고 판단, 한류를 활용한 소비재 시장 개척에 나섰다.

올해 하반기에 수출마케팅을 70여회 지원해 화장품 등 5대 유망 소비재 대상 수출보험 우대를 확대한다. 중소중견 35% 할인(기존 25%)에 더해 수출채권 조기 현금화 보증한도 2배 추가 우대도 이뤄진다.

유통망, 프랜차이즈, 전자상거래, 홈쇼핑 등 플랫폼 기업 해외진출을 통해 제품 및 서비스 중소기업 동반 진출 촉진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코트라는 콘텐츠진흥원과 협업 프로그램 ‘웹툰 플랫폼 해외진출 액셀러레이터’ 등과 같은 세부적인 현지 정보 제공 및 컨설팅 사업을 추진한다.

웹툰 플랫폼 해외진출 액셀러레이터는 레진, 라인코믹스 등 1개 웹툰 플랫폼 해외진출 시 100여개 개별 웹툰 콘텐츠 진출이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내년에는 무역보험공사에서 수출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략·신흥·주력시장 진출지원 보험 2조원을 신설한다.

국내 소재·부품 수출 확대도 신남방 정책에 포함됐다. 현지진출 기업, 글로벌 기업과 바이어 미팅, 상담회 등을 하고, 통관절차 간소화 및 관세인하 협의 등도 조율 중이다. 신남방 등 진출 보증지원은 올해 추경 250억원을 투입했고, 내년에는 750억원 늘어난 1000억원 규모가 쓰인다.

이밖에 인니 국영 석유회사 등이 발주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우리기업 수주 확대도 정책에 담았다. 신남방 공기업과 우리 중소·중견 벤더(기자재 수출업체) 간 벤더 페어(Vendor Fair)를 공동 개최해 기업간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는 복안이다.

산업부는 내년에 현지 진출기업에 대한 기업애로 원스톱 해결 솔루션인 ‘원루프 서비스’를 위해 인도네시아, 베트남, 인도에 ‘신남방 비즈니스 협력센터’를 신설한다. 코트라는 내년 전략지역특화 해외진출지원사업에 40억원을 편성했다.

유라시아 지역은 공적원조를 중심으로 현지화 작업에 들어간다. 중점육성 분야(자동차, 농기계 등)를 중심으로 합작투자, 국제개발협력(ODA)사업 등을 활용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무보·수은 등 수출신용기관 심사기간 단축 및 서류간소화도 이뤄진다. 제출서류(EPC, O&M 계약서 10종, 금융서류 10종) 최소화는 기업들 현지화 진출에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또 소비재·농업 기자재 등 유망품목 대상 유력 온·오프라인 유통망과 협력 체계 구축을 구상하고 있다. 농축산식품부는 다음달 신규 바이어 매칭, 상품 테스트 등 초기 개척 활동 추진(9~10월) 및 마케팅·물류 지원 등 수출 확대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밖에 내년 상반기 중에는 한-러 간 ‘9개 다리 행동계획’ 후속 사업 추진 및 러시아 극동지역 이헬스(eHealth) 마스터 플랜 공동 수립을 준비하고 있다. 이헬스 사업은 극동지역 병원정보시스템(HIS) 전략 수립을 위해 한-러 보건부 실무작업반이다.

정부 관계자는 “신남방 바이오 시장 개척을 위한 기술 및 비즈니스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아시아 바이오경제 네트워킹’ 등을 추진 할 것”이라며 “러시아 조선소 현대화 사업, 인도, 인니 등 철강 분야 주요국과 비관세장벽 관련 정기적인 논의를 통해 업계 애로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