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산업부 장관, 먀오웨이 공업신식화부장과 회담
한국과 중국 산업 주관부처의 수장이 만나 양국간 신산업분야 협력 및 통상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28일 중국 하이난성에서 열린 보아오포럼에 참석해 먀오웨이(Miao Wei) 공업신식화부장과 취임이후 첫 산업장관회담을 가졌다.
양국 산업장관은 그간 한중 양국이 제조업 중심의 협력을 통해 단기간 양적 성장을 이뤄냈다는 데 공감하고 향후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 나가기 위해 신산업 분야에서 적극적인 협력의 필요성에 의견을 같이했다.
이 자리에서 성 장관은 미래차 분야가 대표적인 주력산업 고도화 및 신산업 창출분야로 양국이 상호보완적인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어 표준 등 협력시 세계시장을 주도할 수 있다며 미래차 분야 적극적인 산업협력 추진을 제안했다.
특히 수소차는 양국 대기환경 개선에도 이바지하는 만큼 양국 장관은 수소차‧전기차 향후 전망과 친환경적인 국제 수소공급망 구축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성 장관은 전기차 분야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중국내 한국 투자기업의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에 대해 보조금 지급사례가 없었다는 점에 유감을 표하고 2021년 보조금 폐지 이후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내·외자 기업간 공정한 경쟁을 당부했다.
성 장관은 생태산업단지 관련 협력도 제안했다. 생태산업단지는 지난 2017년 12월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국빈방문시 양굴 정상간 합의된 사업으로, 공정에서 발생한 폐기물과 부산물을 기업간 연계, 재활용 및 에너지원 전환을 통해 에너지효율 제고 및 대기오염물질 발생 최소화하는 내용이다.
현재 양국 공동으로 중국내 2개 산업단지(장쑤성 옌청, 산동성 페이청)를 대상으로 한국 생태산업개발 모델 적용을 위한 공동조사가 진행 중이다.
성 장관은 이를 더욱 확대하자고 제안했고, 먀오 부장도 생태산업개발은 양국간 산업협력의 중요한 의제라는 점에서 협력 필요성에 공감을 표했다.
성 장관은 먀오 부장에게 양국 통상현안의 원만한 해결을 요청하기도 했다. 메모리반도체 관련 중국정부의 반독점조사, 글로벌 조선산업 과잉공급 해소를 위한 향후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 기업결합심사, 양국간 통상분쟁 등을 언급했다.
먀오 부장은 산업 분야 주무부처의 수장으로 통상 관련 사안은 권한이 없다. 그는 성 장관의 이같은 요청에 “한국측의 입장을 관계부처에 전달하겠다”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 장관은 협력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성과를 창출하고자 하반기 중국에서 제4차 한중산업장관회의를 개최하기로 하고, 이를 위해 양국간 실무협의회를 갖기로 합의했다.
한편, 성 장관은 이번 보아오 포럼에서 한-중 기업인간 교류 활성화를 지원하고, 중국기업들과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보아오포럼 한-중 공식오찬과 한-중 CEO 대화에 참석해 양국 기업인들을 격려하고, 민간기업간 교류를 지원했다.
또 ‘5G : Bringing Things to Life with IoT’ 세션에 참석해 세계 최초 5G상용화 등 한국의 대응상황과 함께 5G·IoT를 활용한 자율주행차, 스마트공장 등 한국의 산업혁신전략을 소개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