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뱀 독 활용해 진통제 만든다

이소희 기자

입력 2017.11.29 11:25  수정 2017.11.29 11:28

해수부, 바다뱀 신경독 성분 활용한 의약품 소재 개발 추진

해수부, 바다뱀 신경독 성분 활용한 의약품 소재 개발 추진

올해 6월과 9월 제주 성산 앞바다에서 61년 만에 진정바다뱀아과에 속하는 바다뱀(Yellow-Bellied sea snake) 서식 사실을 확인한 해양수산부가 이 바다뱀의 신경독 성분을 활용한 의약품 소재 개발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29일 밝혔다.

최근 생명공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독성을 지닌 해양생물을 활용한 의약품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해양생물이 가진 독이 체내 특정부위에 작용될 수 있도록 독성을 조절해 진통효과, 항염증효과 등을 지니는 유용물질을 개발해내고 있다.

실제 해양생물 신경독을 활용한 유용물질 개발 연구사례로는 복어의 간과 난소(알)에 주로 들어 있는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을 활용한 진통제 및 근이완제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청자고둥의 치설(입 속에 있는 줄기모양 기관)에 있는 ‘코노톡신(conotoxin)’이란 독을 활용해 암환자 등을 위한 진통제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올해 발견된 진정바다뱀아과 바다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올해 발견된 바다뱀은 제주 성산항 40km 해상에서 포획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생태보전연구실 김민섭 박사 연구팀에 인계됐으며, 연구팀은 해당 뱀이 코브라과(진정바다뱀아과)에 속하는 Yellow-Bellied sea snake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바다뱀은 1956년 부산 초량 근해에서 관찰된 이후 61년 만에 국내 서식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됐으며, 납작한 머리에 등은 검고 배면이 노란 특징을 지녔다. 아가미 없이 폐로 호흡해 주기적으로 수면위로 헤엄쳐 올라오며, 연안에서 자주 관찰되는 독성이 없는 어류 바다뱀(snake eel)과는 달리 맹독을 지니고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그동안 육상에 서식하는 뱀의 독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은 있었지만 바다뱀의 독을 활용한 연구사례는 아직 전 세계적으로도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다”면서 “해수부와 해양생물자원관은 이번에 발견된 바다뱀을 포함한 바다뱀 2종의 신경독 성분을 활용해 내년부터 진통제 등 의약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 본격 착수키로 했다.”고 전했다.

윤두한 해수부 해양수산생명과장은 “해양수산생명자원을 활용한 해양바이오 산업은 매년 5% 이상의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유망 산업”이라며 “앞으로도 우리 바다에 살고 있는 해양수산생명자원을 소재로, 의료 등 다양한 부문에 활용될 수 있는 유용물질 및 원천기술 개발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0

0

기사 공유

1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 장서혜
    최근 생명공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독성을 지닌 해양생물을 활용하여 
    진통제 효과 등을 지닌 의약품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니 
    해양 바이오 산업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최근에 부산국립수산과학관에서 복어 독에 대한 강의를 들었는데 
    그 때 당시 무섭다고만 생각했던 복어 독이 진통제 및 근이완제 개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니 정말 놀랍고
    이번에 발견된 바다뱀을 포함한 바다뱀 2종의 신경독 성분을 활용해 개발된 의약품으로 
    하루 빨리 많은 환자들의 병 치료에 이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0.08.15  06:46
    0
    0
1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