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2017 금융포럼-토론] "'대체투자 활성화' 위해 저변 확대·리스크 관리 동반돼야"


입력 2017.05.25 15:25 수정 2017.05.25 16:03        배근미 기자

노혜란 국민연금 팀장 “국내 투자 주춤...한계 돌파 전략 다변화 필요”

송인규 고려대 교수 "저변 확대"…김영진 금감원 실장 "리스크관리 동반돼야"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문재인 정부, 대체투자시장 활성활를 위한 과제'를 주제로 열린 데일리안 2017 글로벌 금융비전 포럼에서 주제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노해란 국민연금공단 실물투자 팀장, 윤석준 우정사업본부 보험대체투자과 사무관, 강세기 NH-아문디자산운용 대체투자 본부장,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 송인규 고려대 기술경영대학원 교수, 황세윤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 실장, 김영진 금융감독원 자산운용감독실장.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문재인 정부, 대체투자시장 활성활를 위한 과제'를 주제로 열린 데일리안 2017 글로벌 금융비전 포럼에서 주제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노해란 국민연금공단 실물투자 팀장, 윤석준 우정사업본부 보험대체투자과 사무관, 강세기 NH-아문디자산운용 대체투자 본부장,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 송인규 고려대 기술경영대학원 교수, 황세윤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 실장, 김영진 금융감독원 자산운용감독실장.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최근 지속되는 저금리 기조 속 투자자들 사이에 대체투자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그에 따른 부작용도 점차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대해 전문가들은 일반투자자 등을 통한 시장 저변 확대와 자발적인 리스크 관리를 통해 대체투자의 활성화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25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문재인 정부, 대체투자시장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주제로 진행된 ‘2017 글로벌 금융비전 포럼‘에서는 대체투자시장의 국내 정착 과정에서 불거진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논의하는 패널들의 토론이 펼쳐졌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패널들은 최근 금융시장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해란 국민연금공단 실물투자 팀장은 “최근들어 국내에서의 대체투자가 주춤하면서 해외 비중이 65% 국내 비중이 35%에 머물고 있는 상황”이라며 “특히 신규투자를 발굴하기 어려워지면서 국내 대체투자가 정체상태에 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간 대체투자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됐기 때문에 성과는 좋은 편이었지만 앞으로도 초과수입을 누릴수 있느냐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라며 “이같은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추가수익을 기대할 만한 신규투자 대상을 개발하거나 운용사의 경험 및 전략 다변화를 통한 다양한 유형의 투자상품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정체된 국내 대체투자 시장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기반으로 일반투자자들을 통한 시장 저변 확대가 언급되기도 했다. 송인규 고려대 기술경영대학원 교수는 이 자리에서 “불완전판매 문제를 최소화함으로써 기관투자자 중심으로 이뤄지던 대체투자 시장의 기회를 일반인들에게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모’와 ‘사모’의 기준을 일반인과 비일반인이 아닌 ‘전문인’과 ‘비전문인’으로 나눈다는 구상이다.

국내 기관투자자의 발목을 잡고 있는 감사제도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송 교수는 “감사를 하는 사람들은 자산 운용전문가들이 아니다”라며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에게 감사를 받는 것은 평상시의 투자활동이 제약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며 보다 현실적인 감사제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당국 역시 대체투자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내 투자문화가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보다 자율적인 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다만 업계와 기관, 개인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얻기 위해서는 자율적인 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투자심사 및 모니터링 기능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김영진 금융감독원 자산운용감독실장은 “대체투자시장의 업력이 아직 길지 않다보니 어느 시장보다 역동적이고 디소싱 전문이력이 한정돼 있다. 때문에 부동산 등 인기있는 특정업종에 대한 쏠림 현상이나 전문적인 사모부문에서 공모까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부분들을 종합적으로 볼때 아직 회사 자체에서 노력한다고 리스크 관리가 되지는 않을 것이고 이러한 부분에 대해 시스템과 인프라 쪽으로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감독 당국 역시 향후 많은 고민을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배근미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