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0명'·금감원 '1명'…금융권 철옹성 '유리천장'

배근미 기자

입력 2017.03.09 06:00  수정 2017.03.09 08:10

제2금융권 여성임원 비율 4.4% 불과,부서장급도 2900명 중 196명

금융공공기관도 여성임원 가뭄 현상,"경단녀 막을 적극적 대책 필요"

금융권 내에서 여성임원에 오르기까지 여전히 높은 문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 비해 정규직 등으로 금융권 내 여성인력 진입비중은 조금씩 개선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정부 정책 등 여러 한계로 인해 아직 여성임원 확대로까지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금융권 내에서 여성임원에 오르기까지 여전히 높은 문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 비해 정규직 등으로 금융권 내 여성인력 진입비중은 조금씩 개선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같은 영향력이 아직 여성임원 배출로까지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사무금융서비스노조가 지난 8일 '109주년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지난달 기준 보험사, 카드사, 증권사 등 50개 제2금융권 금융회사의 성별 승진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 직원 중 44%에 달하는 여성직원 가운데 부서장급은 총 관리자 2911명 가운데 6.7%(196명), 전체 임원 중 4.4%(34명)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여성임원 가뭄 현상은 금융공공기관에서도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이날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알리오에서 금융위원회 산하 8개 금융공공기관 현황을 분석한 결과 산업은행(6명)과 예금보험공사(14명), 신용보증기금(14명), 예탁결제원(9명)의 경우 전체 임원 중 여성 임원은 단 한명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금융공사(14명)와 기술보증기금(14명), 기업은행(6명) 등에서는 가뭄에 콩 나듯 여성임원을 찾아볼 수 있었으나 기은을 제외한 대부분 비상임이사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국자산관리공사(15명)의 경우 비상임이사와 상임이사 각 1명씩 여성임원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다른 금융공기관인 금융감독원은 전체 임원(15명) 중 천경미 금융소비자보호 부원장보 1명이 유일한 여성 임원으로, 한국은행의 경우 2017년 현재 여성임원이 전무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아직까지 저조한 금융권 내 여성고용 및 여성임원 비율과 그 원인을 놓고 업계 내에서도 여러가지 해석이 분분한 상황이다.

최근 고용노동부로부터 지난 3년 간 여성고용 비율 및 개선노력이 저조한 사업장으로 공표된 메리츠증권 측에서는 각 사별 업무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다. 해당사 측은 "본사 특성 상 IB(기업공개 및 인수합병 등 주간) 업무가 주를 이루다보니 이들 담당하는 남성 직원의 비율이 높아 여성근로자 비중이 적었던 것"이라며 "단순히 여성 고용비율이 아닌 업무 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동일한 정규직으로 입사하더라도 결혼과 육아 등의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퇴사 압력을 받고 사측의 눈치를 보거나 출산과 육아휴직 등을 이유로 승진에서 제외되다 결국 퇴사해 경력이 단절되는 금융권 여성 직장인들의 현실 역시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5월 부족한 여성 관리자 확대 차원에서 직위공모 시 여성우대 및 여성승진쿼터제 등을 골자로 하는 자체 전략 수립에 나섰다. 이를 위해 금융위 산하 기관들은 올해 기재부 제출 목표인 8.5% 수준(3급 이상 여성관리자 비율)을 감안해 자체 반영에 나서기로 했으나 중장기 전략인 만큼 실제 제도의 실효성 여부에 대해서는 더 시간을 갖고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서은정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조 교육국장은 "우리나라에서 정규직 채용이라는 높은 장벽을 넘었다고 하더라도 다시 무기직과 분리직군으로 막힌 유리천장과 마주하는 것이 아직까지는 일반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가 출산율 저하를 막기 위해 낙태금지법을 강화하고 시간제 일자리 확대 정책을 펼친 것은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키는 꼴”이라며 “여성의 유리천정을 없애기 위한 안정적인 고용형태는 물론 승진(임원)할당제 도입, 남성의 육아휴직 의무화 등 여성의 경력단절을 막을 수 있는 적극적인 정책 도입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