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덕민 국립외교원장은 4일 새누리당 소속 김영우 국방위원장이 국회 의원회관에서 연 ‘미국 대선, 우리의 대응방안은?’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서 “주한미군이 수천발의 탄도미사일 위험에 놓여있음에도 철수하기 힘든 것은 주한미군이 있는 한 산둥반도로부터 중국 함대가 빠져나갈 수 없기 때문”이라며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한미동맹을 해체시키려는 중국의 숨은 의도는 동중국해 장악”이라고 말했다.
동중국해는 중·일 간 영유권 분쟁을 빚고 있는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가 있는 곳이다. 중국은 건군절(국군의 날)인 지난 1일 동중국해상에서 군함 100여 척과 전투기 수십 대를 투입해 실전 수준의 대규모 실탄훈련을 실시한 바 있다. 이를 두고 중국이 센카쿠 열도 방어조치를 강화한 일본을 겨냥해 무력시위를 벌인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윤 원장은 우리나라 차기 정부가 대북 억제를 위해 미국 차기 정부와 긴밀한 공조를 이어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 원장은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의 정강정책을 보면 한미 동맹을 굳건히 하겠다고 한다” 북한을 노예 국가로 규정하는 등 양당 모두 강력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11월 대선을 앞두고 개정된 공화당·민주당 정강은 각각 북한을 ‘김 씨 일가의 노예국가’ ‘가학적 독재자가 지배하는 가장 억압적 정권’으로 규정했다. 또한 핵무기 프로그램 해체와 북핵 불인정 기조를 밝혔다.
다만 윤 원장은 “북한은 우리나라의 내년 대선 전까지 모든 핵능력을 입증하려 할 것이다. 그것을 배경으로 해서 ‘미 본토까지 공격하는 걸 포기할 수는 있지만 한반도 억제력에 대해서는 인정하라’는 전략적인 협정을 맺자고 제안할 것”이라며 “그래서 우리 차기 정부는 정권 재창출이든 정권 교체든 북한과의 대화가 필요하다는 노선을 가질 수 있다. 미국 차기 정부와 이 문제를 어떻게 조율할 지가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 원장은 미국 공화당 다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의 차기 대통령이 될 경우 우리나라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주한미군 문제와 관련해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다면 상당히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며 “방위분담금을 충족하지 못하면 주한미군을 철수할 수 있다는 얘기를 눈여겨봐야 한다”고 했다.
앞서 트럼프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맹국들이 주한미군의 주둔비를 100% 내야 된다며 동맹국들이 현재 미국에게 무임승차를 하고 있다고 표현했다. 그러면서 “최악의 경우 주한미군 철수까지 검토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