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실률…서울 10.7%, 부산 14.8%, 인천 송도 51.8%로 가장 높아
공실률…서울 10.7%, 부산 14.8%, 인천 송도 51.8%로 가장 높아
서울·부산의 프라임급 오피스 공실률이 소폭 하락한 반면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공실률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프라임급 오피스는 연면적이 6만6000㎡를 넘는 대형 빌딩을 뜻한다.
한국감정원이 13일 발간한 '2016년 2분기 KAB 오피스 리포트'에 따르면 서울 프라임 오피스의 공실률은 1분기 대비 0.4%p 하락한 10.7%로 나타났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ΔCBD(종로·중구) 10.5% ΔYBD(여의도) 13.3% ΔGBD(강남·서초) 7.8% Δ기타지역 15.2%였다.
부산(연제·부산진·중·동·금정·해운대구) 공실률의 경우 전분기 대비 1.7%p 하락한 14.8%였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서울은 삼성그룹 등 대기업 계열사의 권역 이동에 따라 지역별로 공실률에 변동이 있었고, 부산은 부산진구에 위치한 대형 오피스의 공실이 일부 해소된 게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반면 송도국제도시는 전분기 대비 6.8%p 상승한 51.8%로 조사됐다. 송도국제도시의 프라임오피스 두 곳 중 한 곳은 비어있다는 의미다. 이는 임차인 수요에 비해 최근 공급이 많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 2분기부터 조사를 시작한 분당(서현·수내·구미·삼평동)의 경우 공실률이 6.9%로 나타나 양호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임대료는 큰 변동 없이 보합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당 임대료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Δ서울 2만6700원 Δ분당 1만7100원 Δ부산 1만원 Δ송도 9600원이었다.
투자수익률은 서울이 1.22%로 전분기 대비 0.02%p 하락했다. 도심지역의 공실이 늘면서 투자수익률이 하락했다. 부산은 공실이 줄면서 전분기 대비 0.48%p 1.49%였다. 공실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분당의 수익률은 1.68%로 조사됐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